보험연구원 이정택 연구위원은 27일 내놓은 '신생아 체중의 변화 추이와 원인' 보고서에서 15∼49세 산모의 첫째아 체중이 1997년 3.214㎏에서 2014년 3.121㎏으로 17년 만에 약 2.8%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위원이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5㎏ 이하 저체중 신생아의 출산 확률은 1997년 5.1%에서 2014년 8.6%로 3.5%포인트나 높아졌다.
1997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인 첫째 아이의 체중은 2010년 이후 한층 감소세가 뚜렷해졌다.
신생아 체중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임신기간 산모의 건강과 연관된 태아의 영양 상태다.
산모의 건강상태를 좌우하는 핵심 요인으로 꼽히는 것이 나이다.
우리나라 산모의 평균 초산연령은 1997년 26.4세에서 2014년 30.5세로 4.1세 높아졌다.
이 연구위원이 분석한 결과 산모 나이와 태아의 체중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25∼29세 여성의 첫째아 체중을 기준으로 삼아 비교해 보면 30∼34세 여성의 첫째아 체중은 평균 0.6%, 35∼39세 여성은 1.8%, 40∼45세 여성은 3.1% 가벼웠다.
저체중아를 낳을 확률도 산모 나이에 따라 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25∼29세 산모보다 30∼34세 산모의 첫째아가 저체중군으로 분류될 확률이 0.8%포인트 높았다.
35∼39세는 2.3%포인트, 40∼45세 산모는 3.3%포인트 증가했다.
이 연구위원은 "태아 체중은 건강의 지표이자 지적능력 등 미래 생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그는 "태아의 체중 감소는 출산이 늦어지는 것이 주요 원인이므로 여성들이 일과 양육을 함께할 수 있는 근로여건을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