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우찬제의책읽기,세상읽기] ‘벌이·벌레’의 우수

관련이슈 우찬제의 冊읽기 세상읽기

입력 : 2016-09-26 23:12:14 수정 : 2016-09-26 23:12:1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돈벌이 숙명 꼬집은 카프카 ‘변신’
자본주의 굴레서 벗어날 수 있을까
김기덕 감독의 영화 ‘피에타’의 강도(이정진 분)는 ‘나쁜 남자’보다 더 나쁜 남자다. 온갖 끔찍한 방법으로 채무자로부터 돈을 뜯어내는 그는 어쩌면 괴물 같은 형상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이 나쁜 남자로부터 속절없이 당해야 했던 채무자들 역시 스스로 괴물이거나 벌레 같은 존재라고 느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때때로 내 삶이 벌레처럼 구차하다고 느껴질 때가 있다. 혹은 벌레처럼 내동댕이쳐질 위기 상황을 절감하는 순간도 있다. 그런 감각이 깊어지면 운명적 소외와 환멸적 우수에 빠져들 수도 있다. 비단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지만 사채업자의 횡포 때문에 수렁에 빠진 사람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연스레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 ‘변신’을 떠올린다.

“나는 까마귀입니다. 나의 날개는 위축되어 있습니다. (…) 빛나는 것에 대한 감각이 결여되어 있습니다. 나는 돌산 속에 모습을 숨기고 싶어 하는 까마귀입니다”라고 말했던 이가 카프카였고, 또 다른 소설 ‘시골의 혼례 준비’에서 “나는 침대에 누워 있을 때, 가끔 커다란 딱정벌레나 아니면 풍뎅이의 모양을 하고 있지 않는가 하고 생각한다”라고 서술했던 이 역시 카프카였다. 그리고 ‘변신’은 “어느 날 아침, 그레고르 잠자(주인공)가 무엇인가 심상치 않은 꿈에서 깨어났을 때, 침대 안에서 자기가 한 마리의 징그러운 벌레로 변신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문장으로 시작된다.

느닷없는 변신 이야기다. 그레고르는 어째서 벌레로 변신하는가. 일차적으로 빚진 자의 숙명적인 굴레 때문이었다. 5년 전 파산한 아버지는 그레고르가 일하는 가게 주인에게 빚을 짊어졌다. 이에 그레고르는 빚도 갚아야 하고 또 가족의 생계도 꾸려야 하는 처지여서 열심히 의류 외판원으로 일한다. 상과대학을 나와 군대 생활을 마친 그레고르는 성실한 세일즈맨으로 일하면서 머잖아 빚을 다 갚을 수 있을 것이며, 또 음악에 소질이 있는 누이동생 그레테를 음악학교에 보내줄 생각까지 하면서 나름의 희망을 일구며 살아가는 건실한 청년이었던 것이다. 건실하게 노력했지만, 그것은 어쩔 수 없는 억압의 굴레였을까. 정녕 돈이 문제였을까.

벌레로 변한 다음 모든 것이 달라졌다. 정상인으로서 돈을 벌 수 있을 때 그는 가게에서는 믿음직한 세일즈맨이었고, 가정에서는 사랑받는 아들이며 오빠였다. 하지만 돈을 벌지 못하고 벌레가 된 그는 철저한 소외자이며, 해충에 불과할 따름이다. 더 이상 가족의 일원일 수도 없었으며, 특히 아버지의 가학적 공격성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아들과 오빠를 사랑한 것이 아니라 돈을 사랑했던 것으로 보이기도 하는 이 어처구니없는 상황, 하나의 인격체가 아닌 단지 돈벌이 수단으로서만 세일즈맨을 치부한 비인간적인 고용주의 태도, 욕망하는 기계인 자본주의의 거침없는 톱니바퀴…. 이 정도라면 사람의 상황이라기보다 벌레의 상황이라고 봐야 하는 게 아닐까.

일종의 ‘벌이-벌레’ 같은 비극적 정황을 카프카는 다소 비현실적인 시점에서, 아주 냉혹한 문체로 그려냈다. 1950년대에 이 땅에서 전혜린은 “돈이 떨어지다. 배는 다소 고프지만 나는 즐겁다. 오늘은 가을 하늘이 멋이 있었고….” 운운한 적이 있다. 과연 오늘날에도 그렇게 쓸 수 있을까.

우찬제 서강대 교수·문학비평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