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마르케스 첫 장편 ‘썩은 잎’ 재번역 출간
20세기 남반구 최고의 작가로 각광받는 콜롬비아 출신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1927~2014·사진). 그의 대표작 ‘백년의 고독’은 남미문학을 세계문학의 반열에 올려놓은 고전 반열의 작품이다. 가상의 공동체 ‘마콘도’라는 마을을 등장시켜 이곳의 흥망을 마술적 리얼리즘 기법을 사용해 장엄한 교향악처럼 그려냈다. 최근 국내에 새롭게 번역돼 나온 그의 첫 장편 ‘썩은 잎’(송병선 옮김?민음사)은 ‘마콘도’라는 무대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백년 고독’의 중요한 설계도라는 차원에서 의미가 크다.

마콘도에 어디서 왔는지 모를 이방인이 들어와 이 마을 유일한 의사로 살았다. 그는 외국계 바나나농장이 들어와 진료소를 차리자 아무도 찾지 않게 된 공간을 지키다가 문을 닫고 만다. 이후 그는 철저하게 스스로 유폐되어 살아간다. 어느 날 바나나 회사 자본에 맞서 봉기했던 마을 사람들이 부상당해 이 의사의 집 문을 두드리지만 끝내 그는 응답하지 않아 두고두고 원수가 된다.

마콘도에 일찌감치 정착했던 대령과 그의 딸, 손자 3대가 이 남자와 맺은 인연 때문에 그의 장례식에 참석하는 게 이 소설의 기둥 구성이다. 대령은 아무도 가까이 하지 않는 그 의사와 유일하게 소통했고, 의사가 죽으면 반드시 대령이 공동묘지에 묻어주기로 약속을 한 터였다. 의사는 유폐된 채 스스로 죽어가다가 끝내 밧줄로 목을 매 자살한다. 가톨릭 계율이 엄격한 마을 공동체에서, 그것도 마을 사람들을 치료하지 않아 원수가 된 그 남자는 철저하게 외면을 받지만 모든 난관을 감수하면서 대령은 그를 매장하기 위해 찌는 듯 더운 날 시체가 있는 폐쇄된 공간으로 딸과 손자를 데리고 간다.

이날 오후 2시30분부터 관을 앞세워 길로 나서는 3시까지, 이들 3인이 각자의 시각으로 그간의 경과와 인연을 돌아보는 이야기가 이 소설이다. 이 작품에서도 그로테스크한 고독의 뿌리는 이미 보인다. 있는 게 분명하지만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은 가족, 어디서 왔는지도 모르고 오갈 데도 없었던 그 남자는 대령의 목숨을 구해준 뒤 이렇게 말했다. “대령님, 내게 호의를 베풀고 싶다면, 내가 빳빳하게 굳어서 새벽을 맞이했을 때 약간의 흙을 내 몸 위에 뿌려주십시오. 내가 필요로 하는 것은 그게 유일합니다. 그래야 독수리들이 나를 먹어 치우지 않을 테니까요.”

조용호 문학전문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여신 미소'
  • 최지우 '여신 미소'
  • 이다희 '깜찍한 볼하트'
  • 뉴진스 다니엘 '심쿵 볼하트'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