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창업이 미래다] ⑨ 창업교육 활성화 하자

관련이슈 창업이 미래다

입력 : 2013-12-19 06:00:00 수정 : 2013-12-19 07:52:1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창업이 부진한 국내 현실은 창업교육의 사실상 부재에 근본원인이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진단이다. 초·중·고교 때는 입시교육에 치여, 대학에 가서는 취업하려고 영어성적을 비롯한 ‘스펙’을 쌓느라 젊은이들이 변변한 창업교육을 받지 못한 채 사회에 진출하는 것이 우리 현실이다. 근래 들어 산업계를 중심으로 창업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졌지만,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창업 활성화는 여전히 요원한 편이다. 특히 대학은 기술 기반의 창업교육을 갖추지 못해 청년창업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빗발친다.

◆조기교육 체계 미비


창업이 활성화된 선진국과 비교해보면 한국 창업교육의 가장 큰 맹점은 조기교육 체계가 갖춰지지 않았다는 데 있다. 정규 교과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때부터 기업가정신을 불어넣는 미국 등 선진국과 가장 대조되는 대목이다.

한국에서는 초·중학교는 물론이고 상업계 특성화고에 다니지 않는 이상 대학 입학 전까지 창업교육을 제대로 접할 기회조차 없다. 인문계 고교는 선택과목인 기술·가정에 일부 내용을 담고 있지만, 이를 택하는 학생은 극히 드물다. 제도 교육이 창업을 외면하다 보니 민간이 캠프· 견학을 비롯한 체험학습, 특별강의 형식의 학교 방문교육을 앞세워 창업교육을 이끌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설명식 수업은 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한편 사업계획서 작성, 신용관리 등 창업과 금융 기초지식을 쌓는 데 유용하지만 상당수가 유료 프로그램이라 경제적 부담이 적잖다.

창업대학원의 한 교수는 “정부가 나서 교육 단계별로 차등화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체계적으로 가르쳐야 할 때가 됐다”며 “이렇게 해야 조기부터 아이들은 기업가정신을 함양할 수 있고, 초·중·고교와 대학·대학원은 커리큘럼, 교재 개발의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한국 사회에서 창업이 부진한 것은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이 나쁜 점도 하나의 원인인데, 조기 창업교육으로 이를 개선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창업교육 로드맵과 같은 제도적인 뒷받침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교육부를 중심으로 창업교육에 대한 국가 차원의 명확한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청사진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전 부처가 참여하는 ‘창업교육 실행 협의체’를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도 고개를 든다. 협의체를 통해 범국가 차원에서 창업교육 프로그램과 교재를 설계·지원하고, 창업과 관련한 인식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7월 충남 태안군의 리솜 캐슬에서 열린 ‘전국 산업협력선도대학(링크·LINC) 사업협의회 하계 워크숍’이 대학생을 비롯한 참석자들로 성황을 이루고 있다.
교육부 제공
◆기술창업 지원에도 한계


국내 대학에서는 창업교육이 1970년대 후반 경영학의 한 분야로 시작돼 90년대 후반 급속하게 확산됐지만, 기술 기반은 미흡한 현실이다. 중소기업연구원에 따르면 학부의 정규 교육과정에 편입한 창업강좌는 160여곳에서 개설 중이고, 창업 실무내용과 경영론으로 대부분 구성됐다. 김주미 중소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커리큘럼과 교과가 전반적으로 초기 단계의 창업교육에 집중돼 선진국처럼 창업단계 전반을 아우르는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 중 전문대에서는 전공선택으로 설정한 대학의 비중은 54.4%였지만 전공필수는 1.2%에 그쳤다. 교양선택 비중은 44.4%였다. 이와 달리 4년제 대학은 교양선택이 91.5%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전공선택은 8.5%에 불과했다.

더욱 큰 문제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업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데 있다. 4년제 대학은 말할 것도 없고 전문대에서도 창업교육이 경영대를 비롯한 인문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술 기반을 갖춘 이공계에서는 창업교육 열기가 덜한 편이다. 김 연구위원은 “이런 구조로는 기술창업은 힘들 수밖에 없다”며 “기술적인 지식을 갖춘 이공계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신선한 아이디어를 보유했다 하더라도 이를 구현할 기술을 모르면 사업화하더라도 창업에 성공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창업을 특성화할 수 있는 학과를 찾아 교육과 연계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대학 전체의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학과 위주가 아닌 단과대 또는 계열별로 창업 교과목을 운영하고, 고교에서도 기술 특성화 계열을 중심으로 창업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창업교육의 질적 향상도 기술창업을 활성화를 위한 과제이다. 현장에서는 창업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영입하여 이론 위주의 강의에서 탈피해 현장과 실무 중심으로 돌리는 한편, 지역기업과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교육수준을 한 단계 높여야 한다는 주문이 쏟아지고 있다.

황계식 기자 cul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