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차 한잔 나누며] "생생한 위안부 백서 만들어 日정부에 보여줄 것"

관련이슈 차 한잔 나누며

입력 : 2015-04-03 20:31:44 수정 : 2015-04-16 08:40:0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양순임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회장 그를 간난(艱難)의 현장에 세운 것은 시어머니의 한(恨)이었다.

양순임(70)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회장. 1973년 4월 출범한 이 유족회는 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해 일제에 의해 군인, 군속, 노무자, 여자근로정신대, 일본군 위안부 등으로 끌려간 한국인 피해자와 그 유가족이 모여서 만든 피해자 단체다. 유족회는 지난해 9월 일본 정부의 고노(河野) 담화(1993년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 인정 담화) 검증 파문 속에서 1993년 일본 정부 대표단이 위안부 피해자 증언을 직접 듣는 모습이 담긴 영상을 21년 만에 공개해 주목을 받았다.

한·일 간 최대 외교 현안으로 부상한 위안부 문제로 그를 취재하며 머릿속을 맴돌던 질문이 있었다. 칠순의 여성을 이 어려운 현장에 서 있게 하는 힘은 무엇일까? 

양순임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회장이 지난달 19일 서울 종로구 당주동 유족회 사무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인 올해 일본군 위안부 백서를 자체 발간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양 회장 뒤에는 우리 겨레 상징인 흰색 치마저고리가 걸려 있다.
남정탁 기자
양 회장은 “1941년 시아버지가 일본에 끌려가 2년간 노역했는데 남양군도(南洋群島)에 가서 2년 더 일하면 집으로 보내준다는 말을 믿고 남양군도에 가서 영영 돌아오지 못했다”며 “1943년 남양군도로 가기 전에 일본에서 시아버지와 시어머니, 5세인 남편이 재회했는데 그게 마지막이었다고 한다”고 말했다.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남편의 누이는 이질을 얻어 그 땅에서 숨을 거뒀다. 시어머니는 며느리에게 “망할 남편, 남양군도에 가려면 혼자 가지. 2년 뒤에는 온 가족이 행복하게 살자더니. 일본에 오라고 해서 어린 것만 잃었다”고 눈물을 흘리곤 했다고 한다.

인생의 전환기는 1971년 정부가 태평양전쟁 희생자 접수를 하면서다. 전남 순천에 있던 시어머니에게서 연락이 와 희생자 신고를 하러 갔는데 접수 거부를 당한 것이다. 호적에는 시아버지가 집에서 사망했다고 기재돼 있었기 때문이었다. 양 회장은 “이승만 대통령 시절 징병, 징용 갔다 돌아오지 않은 행방불명자들의 사망신고를 허용했다. 그러니 집안 어른들이 집에서 사망한 것으로 했던 게 화가 됐다. 그때는 그런 시절이었다”고 말했다.

시아버지가 남양군도로 갔음을 입증해야 하는 것은 오로지 그의 몫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야스쿠니(靖國)신사의 위령자 명부 필사본에서 시아버지의 이름을 확인했다. 일본 후생성에도 편지를 보내 시아버지가 1944년 12월30일 사망했다는 답변도 얻어냈다. ‘활동가 양순임’ 의 삶은 거기서 시작됐다. 그는 “어느 날 희생자 접수신고를 받던 순천세무서 앞을 지나는데 시어머니 같은 분이 너무 서럽게 울고 있었다. ‘왜 울고 있느냐’고 물었더니 우리와 비슷했다. 근거가 없어 접수를 안 받아주는데 거문도인가, 거제도인가 집으로 돌아갈 여비가 없다는 것이다. 주머니에 있던 돈을 다 털어서 드리니 ‘고맙다’는 말을 연방하며 사라졌다. 그 ‘세무서 아주머니’도 우리 시어머니와 똑같았다. 그때부터 이 일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1973년 유족회 창립 발기인으로 뛰어들었다. 1991년 위안부 문제를 특종 보도해 일본 우익의 공격을 받는 우에무라 다카시(植村隆) 전 아사히 신문기자가 그의 사위다. 양 회장은 “사위는 유족회 사무실을 돕던 딸과 내 성(姓)이 달라 모녀지간인지 몰랐다고 한다. 내 딸인 줄 알았으면 무서워서 사귈 엄두도 못 냈을 것이라고 한다”며 웃었다. 그러면서 “사위가 나 때문에 애로가 많다. 애환이 있다”고 미안해했다. 일본 우익은 우에무라 전 기자가 양 회장의 사위임을 빌미로 그가 쓴 기사의 공정성에 흠집을 내곤 했다. 양 회장이 2011년 억울한 사기 공모 혐의로 구속·기소되자 일본 우익의 공격은 더 집요해졌다. 그는 “양순임이 ‘사기꾼’이 됐다고 하니 일본 우익이 대환영을 했다. 위안부와 관련된 모든 기사도 사기로 몰고갔다”고 말했다. 양 회장은 지난해 8월 무죄가 확정됐다. 

해방 70년과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는 올해, 그는 정부와는 별도로 자체 위안부 백서 발간을 추진하고 있다. 그 작업의 하나로 1993년 일본 정부가 증언 청취를 한 위안부 할머니 16명의 증언 녹화 영상 녹취록을 만들고 있다. 양 회장은 “위안부 문제와 함께 군인, 군속 실태에 대한 재조사를 진행 중이다. 실태조사가 끝나면 한·일 국교정상화 날인 6월22일 회원들이 서울에 모여 기자회견을 한 뒤 관련 서류를 우리 정부와 주한 일본대사관에 제출할 것이다. 그 뒤 딱 50일간 답변 말미를 준 뒤 백서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양 회장의 시어머니는 1984년 72세의 나이로 한 많았던 삶과 이별을 고했다. 시어머니는 시아버지의 사망일자까지 받았는데도 죽는 날까지 남편의 죽음을 인정하지 않았다. 제사도 지내지 않고 시아버지 생일에 맞춰 생일잔치만 했다고 한다. 양 회장은 이제 그 시어머니의 나이를 바라보고 있다. 그는 이제 질곡의 한·일 관계를 어떻게 풀어야 한다고 생각할까. “일본 지도자가 문제지, 일본 국민에게 무슨 죄가 있느냐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나는 이 말에 반대한다. 그 전쟁을 수행하고 인간성을 능멸한 짓을 한 사람이 모두 일본 국민이다. 일본 국민이 반성하고 그에 상응하는 배상을 해야 한다. 위안부를 강제연행 안 했다고 하는데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없다. 불행한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역사를 올바로 써야 한다.”

김청중 기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
  • 오마이걸 유아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