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양국 배척 말고 미래지향적 관계 구축을”

관련이슈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

입력 : 2015-06-18 19:11:09 수정 : 2015-06-18 22:46:2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한·일 수교 50주년] 6·3세대가 말하는 한·일관계 50년·전망
서청원 새누리 최고위원
한·일회담을 굴욕회담으로 규정하고 반대한 이른바 6·3세대는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남다른 감회로 맞고 있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격렬한 한·일회담 반대시위가 계속되자 1964년 6월3일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이를 강제 진압했다. 6·3세대란 이름은 계엄선포일에서 따왔다. 이듬해인 1965년 6월22일 한·일 기본조약 등이 체결돼 광복 20년 만에 양국 국교가 정상화됐다. 6·3세대는 한국의 격변기를 거치며 1980∼90년대 우리 사회의 주축을 이뤘고 이제는 정계를 비롯한 경제, 언론, 문화, 학계의 원로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세계일보는 6·3세대인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전 열린우리당 의장·이하 가나다 순), 서진영 고려대 명예교수, 서청원 새누리당 의원(전 한나라당 대표), 이부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에게 지난 반세기 한·일 관계에 대한 평가와 앞으로 양국이 나아갈 방향을 물었다.


중앙대생으로 한·일회담 반대 시위에 나섰던 서청원(사진) 새누리당 최고위원(전 한나라당 대표)은 18일 “6·3세대로 한·일 의원연맹 회장을 맡고 있어 역사의 아이러니를 느낀다”며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진정한 사과와 보상이 이뤄지면 한·일 관계는 급진전될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한·일협정 반대 이유는

“경제 발전을 위한 원조를 받는 데 중점을 두다 보니 과거사 문제에 대한 해결의지가 부족했다. 일제강점기에 대한 국민의 반일 감정이 있었던 상황에서 낮은 보상 수준 등 정부의 미흡한 협상에 대한 저항이었다. 결국 한·일 수교에 반대하다 4개월간 옥고를 치러야 했다.”

―어떤 아쉬움이 남는가.

“50년 전에 제대로 정리하지 못한 과거사 문제가 지금도 한·일 관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경제발전 등 한·일 수교로 인한 긍정적인 측면도 많았지만 과거사에 대한 일절 사죄가 없는 수교는 분명히 잘못이다. 6·3항쟁은 한·일 수교 추진과정의 잘못된 점을 지적하고 우리 민족의 자존감을 지키는 활동이었다고 평가한다. 50년 전으로 다시 돌아가더라도 단호하게 반대할 것이다.”

―바람직한 한·일 관계는.

“한·일은 이념적으로, 정치와 경제적으로 가까운 이웃이다. 계속해서 서로 배척하며 지낼 수 없다. 과거사 문제 등으로 인한 그동안의 한계를 뛰어넘는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결국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의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반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과거사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를 바탕으로 남북 통일은 위한 협력자 관계, 경제성장을 위한 동반자 관계가 필요하다.”

―통일시대 한·일 동반자 관계는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아베 내각의 진정성 있는 반성과 사과가 관계 개선의 출발점이라고 본다. 특히 한·일 관계의 최대 현안인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의 진정한 사과와 보상이 이뤄진다면 양국 관계는 급속하게 가까워질 수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