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류영현기자의역사항쟁지다시보기] 여자 광복군 박기은 기개서린 제3지대 터

관련이슈 류영현기자의 역사항쟁지 다시보기

입력 : 2017-02-02 21:06:16 수정 : 2017-02-02 22:40:4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일제에 항거하며 독립운동에 투신하다 부부의 연을 맺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지난달 7일 미국 뉴저지에서 타계한 광복군 출신 여성 독립운동가 박기은 지사도 여기에 속한다. 1925년에 태어난 박 지사는 남편 이원하(1921.6.7.∼1980.3.13.) 지사와 함께 대한민국 광복군에서 활동했다.

박 지사는 1944년 중국 허난성 귀덕 지역에서 광복군 지하공작원으로 활동하며 일본군에서 탈영한 한국인 등을 안전지대로 호송했다. 이듬해 3월부터는 광복군 제3지대 본부에서 군사훈련 및 간호교육 등 제반 과정을 이수하고 구호분대장으로 조국 독립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안후이성 푸양시 푸난현 산타지에 있는 광복군 제3지대 본부 터와 박기은 지사(작은 사진).
남편인 이 지사는 1943년 4월 광복군 총사령부 귀덕지구 전방 지하공작원으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 관련 유인물을 배포했다. 1944년 2월 일본군에서 탈출한 한국인들을 도와 안전지대로 호송했다. 군자금 모집 활동과 애국청년들을 규합해 광복군 제3지대로 귀대시키는 역할을 했다. 박 지사는 1980년 남편이 작고하자 이듬해인 1981년 7월 미국으로 건너가 자녀들과 함께 뉴저지에서 여생을 보냈다.

이들 부부가 활동하던 광복군 제3지대 본부는 1942년 4월 제3지대가 ‘징모처 6분처’라는 이름으로 안후이성 푸양시로 떠나면서 창립됐다. 당시 김학규 지대장을 중심으로 신송식·오광심·심규섭·전태산·서파·지복영·오희영 등 8명으로 구성됐다. 푸양은 지형상 일본군 점령지역과 근접해 있었다. 이 때문에 적후에서 공작원을 모집하는 이른바 초모공작(招募工作) 활동을 전개하는 데 있어 유리한 지점이기도 했다. 꾸준한 지하공작을 통해서 적 점령 지구에 있는 교포 청년들과 탈출 학병들을 모집하여 1945년 3월 17일 3지대로 편성됐다.

이 유적지는 1945년 3월 광복군 제3지대가 푸양 성내로 이동하기 전까지 주둔했던 곳이다. 지금 이곳에는 연못과 흙집들이 남아 있다. 연못 자리는 당시와 같지만 흙벽 건물은 완전히 개축한 것들이다. 지금 이곳에는 20여가구의 주민이 거주하는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안타깝게도 당시 부대가 위치했던 흔적을 찾을 수 없다.

류영현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