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여울의문학기행] 무엇이 우리를 인간답게 만드나

관련이슈 정여울의 문학기행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17-03-10 00:55:14 수정 : 2017-04-11 15:49:5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윤동주가 보여준 부끄러움의 순수 / 미움이 견딜 수 없을 땐 서시를 읽자
인간들끼리 서로 끝까지 증오하고, 자존심을 물어뜯고, 존엄을 할퀴는 모습이 연일 보도되는 요즘이다. 한국의 사드 배치 계획에 반대한다는 명목으로 한국의 모든 문화콘텐츠와 기업의 진출을 가로막는 중국의 ‘혐한’ 압박이 그렇고, 죄수복을 입은 상태에서도 뉘우치지 못하고 ‘네가 잘못했잖아, 나는 모르쇠’ 전략으로 일관하는 ‘국정농단’ 사람들이 그렇다. 이런 장면들이 ‘인간적’인 것이라면 인간의 본성은 너무도 사악한 것 아닌가. 하지만 공격성과 폭력성만이 인간의 본성이라면 우리 인류는 벌써 오래전에 멸종했을 것이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서로 돕고, 때로는 사랑하는 이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기까지 하는 인간의 이타성은 우리를 진정으로 ‘인간답게’ 만드는 원동력이었다.

나는 윤동주의 시를 읽을 때마다 ‘우리가 가장 힘든 순간에도 포기하지 말아야 할 인간성’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된다. 그의 모든 시에서 나타나는 감수성은 바로 부끄러움이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이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나는 괴로워했다”는 문장을 낳았다. 어떻게 하면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참을 수 없이 부끄러워질 수 있을까. 그런데 ‘서시’뿐 아니라 다른 시를 살펴보아도 윤동주가 정확히 무엇을 특별히 잘못했다는 고백은 찾을 수 없다. 나쁜 짓을 해서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나의 존재 자체가 부끄러운 것은 아닐까’ 하고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이 바로 윤동주 시가 보여주는 부끄러움의 순수성이다. 내가 혹시 나도 모르는 사이 무언가 잘못한 것은 아닐까, 나의 존재 자체가 타인에게 부담이 된 것은 아닐까, 끊임없이 질문하는 감수성이야말로 윤동주 시의 아름다움을 지탱하는 마음의 뿌리다.

정여울 작가
윤동주의 ‘참회록’에는 더욱 놀라운 부끄러움의 감수성이 꿈틀거리고 있다. “나는 나의 참회(懺悔)의 글을 한 줄에 줄이자/ 만(滿) 이십사 년 일 개월을/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 왔던가.” 그는 겨우 만 24년의 시간이 ‘평생’이었던 시절에 자신의 인생을 참회하는 시를 썼다. 그런데 그 참회의 글을 단 한 줄에 줄일 수도 있다고 한다. 그것이 바로 이 문장이다. “만 이십 사년 일 개월을, 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왔던가. 도대체 무슨 기쁨을 바라고, 그렇게 열심히 뛰고 또 뛰었을까. 기쁨을 바라며 살아가는 인간의 본성 자체가 부끄러운 것이라고 믿었던 것일까.”

이 대목을 읽을 때마다 가슴이 무너져내리는 아픔을 느낀다. 내가 느낀 모든 기쁨, 내가 소중히 여긴 모든 기쁨이 부끄러워지는 순간이기에. 기쁨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지만, 기쁨을 추구할 때 혹시 내 기쁨이 타인의 기쁨을 해치지 않았는지 ‘뒤돌아보는 것’이야말로 우리를 진정으로 인간답게 만드는 힘이 아닐까. 그렇게 뉘우치고, 또 뉘우친 끝에 ‘서시’를 다시 읽으니 비로소 별을 노래하는 시인의 마음이 어떤 것인지 알 것 같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걸어가야겠다.” 시인은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하는 마음이야말로 이 참을 수 없는 부끄러움을 이겨낼 수 있는 힘임을 알았던 것이다.

견딜 수 없는 미움이 사무칠 때 ‘서시’의 주문을 걸어보자.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하자고. 그리고 우리 자신에게 주어진 길을 묵묵히 걸어가자고.

정여울 작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