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집에 오니 좋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정치적 고향 시카고에서 한 고별연설의 첫 문장이 그랬다. 청중들은 축제에 참여한 듯 열광하며 “4년 더”를 합창했다. 연설이 끝난 뒤 20분이 지나도 사람들이 자리를 뜨지 않자 오바마는 다시 연단으로 올라가 감사 인사를 전했다.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은 “기회가 다시 주어지면 달리 행동할 것”이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퇴임 시 지지율은 20%대였다. 부시는 쓸쓸히 백악관에서 퇴임사를 읽은 뒤 빠른 걸음으로 퇴장했다.

한국은 엄숙하다. 그러면서도 처한 상황과 캐릭터에 따라 메시지의 차이를 보여준다. 노쇠한 김대중 전 대통령은 “생명이 다하는 날까지 민족과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간직하며 살아가겠다”고 했다. 탄핵심판대에 올랐던 노무현 전 대통령은 “모든 국민은 지도자이며 진정한 권력은 국민 여러분께 있다”고 마무리지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건설사 회장 출신답게 “꽃피는 계절이 오면 4대강을 따라 자전거를 타고 우리 강산을 둘러보고 싶다”고 했다.

미국은 대통령제를 시작한 이래 44명이 거쳐갔다. 그중 탄핵 대통령이라는 오욕의 딱지를 붙인 전직은 없다. 한국은 헌정사가 일천한데도 대통령들의 우여곡절이 많다. 이승만은 국민에 의해 미국으로 쫓겨나고 윤보선·최규하는 쿠데타로 자리에서 내려왔다. 군인 출신 박정희는 암살당했고 전두환·노태우는 감옥에 갔다. 민주화 출신 중 노무현은 삶을 비극적으로 끝냈고 김영삼·김대중만 나름 명예를 지켰다. 이명박은 퇴임 후 숨죽이고 시간을 보냈다. 청와대 터가 안 좋아서인가.

한국 대통령들의 불행사에 박근혜 전 대통령이 가세했다. 2대에 걸친 파국이다. 현직 대통령으로서 퇴임사를 읽고 손을 흔들며 청와대를 떠나는 모습도 남기지 못한다. 자진사퇴로 반쪽의 명예를 지킬 기회가 있었지만 스스로 차버린 결과다.

동백꽃은 한잎 두잎 지지 않는다. 한겨울에 잠시 피었다가 피를 토하듯 꽃봉오리째 뚝 떨어진다. 시인이 동백꽃을 노래했다. “꽃이 피는 건 힘들어도 지는 건 잠깐이더군” 파면당한 박근혜 전 대통령은 동백꽃처럼 처연할 뿐이다.

백영철 대기자 겸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