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세계타워] 영화산업 수직계열 구조 바꿀 때

관련이슈 세계타워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17-07-04 22:44:32 수정 : 2017-07-04 23:43:0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양적 성장도 중요하지만 질적 성장도 챙겨야 “(영화산업의) 수직계열화가 무슨 말인가요?”

요즘 자주 듣는 질문이다. 투자·제작·배급·상영 등 기획 단계에서부터 완성된 작품이 극장에 내걸리기까지 영화의 모든 과정을 한 업체가 거머쥐고 운영하는 구조를 말한다.

CJ와 롯데가 대표적이다. CJ는 제작사 JK필름과 투자·배급사 CJ E&M, 복합상영관 CGV를 거느린다. 롯데 또한 투자·배급사 롯데엔터테인먼트와 롯데시네마를 보유하고 있다.

이 같은 수직계열화는 스크린과 수익의 독과점이란 폐해를 낳는다. 지난해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 3대 멀티플렉스의 극장 매출 점유율은 97.1%나 됐다. 4대 메이저 배급사(CJ E&M·쇼박스·NEW·롯데엔터테인먼트)가 배급한 한국영화 매출액의 시장점유율도 77.2%에 달했다. 대기업의 배급사와 상영관들이 사실상 한국영화 시장을 주무르고 있는 것이다.

김신성 문화부 차장
영화계에선 이 때문에 흥행성 높은 상업영화에만 스크린이 집중적으로 배정돼 중소 제작사 영화나 독립·예술영화는 설 자리를 잃었다는 비판의 목소리를 줄곧 내오고 있다.

한국영화제작가협회 관계자는 “멀티플렉스를 운영하는 대기업이 자사가 배급하는 영화에 스크린 밀어주기를 자행한다”며 “영화상영으로 얻는 다양한 수익 중 제작사에 건네는 일부를 제외하곤 모든 수익을 한 기업이 가져가는 셈”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CJ의 경우 수직계열화를 통해 극장을 넘어 온라인 부가판권시장의 유통망과 플랫폼까지 장악했다”고 덧붙였다.

마침내 문화체육관광부가 나섰다. 문체부는 지난달 30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와 영화산업 관계자들을 초청한 가운데 국내 영화시장의 공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협의했다. 반드시 개선대책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영화산업의 양극화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대책으로 대기업의 수직계열화를 끊는 배급·상영 분리, 투자·제작 분리를 검토 대상에 포함시켰다. 특정 영화에 배정되는 스크린 수를 제한하는 스크린 점유 상한제와 중소제작사의 영화에 스크린을 일정 수 이상 의무적으로 배정하는 쿼터제 도입도 검토한다. 스크린 독과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반면 해당 기업들은 배급·상영 분리는 오히려 한국 영화산업 발전에 도움이 안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CJ 관계자는 “우리가 극장이나 배급업을 포기할 경우 중국 기업에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면서 “글로벌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노하우가 물거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자동차나 유통, 화학 등 타 산업에서는 독과점과 수직계열화 사례가 많은데 유독 영화산업만 금지하는 것은 차별 아니냐고 반문한다.

서정 CJ CGV 대표는 “중국의 완다 등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은 공격적인 인수합병(M&A)을 통해 규모를 키우고 있는 만큼 한국 영화산업도 오히려 체급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문화산업’만 있고 정작 ‘문화’는 실종되어 버린 상황을 조성하기 쉽다. 영화산업은 동일한 모양과 내구성을 가진 벽돌을 찍어내는 것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양적 성장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질적 성장을 챙겨야 할 때다.

다행히 도종환 문체부 장관은 영화산업 구조를 알고 있다. 작년 10월 국회의원으로서 상영·배급 겸업을 규제하고 스크린 독점을 방지하는 내용의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영비법) 개정안을 발의한 주인공이다. 한국 영화산업의 해묵은 과제를 풀기 위한 대수술이 기대되는 이유다.

김신성 문화부 차장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