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처음엔 자유왕래… ‘도끼만행 사건’으로 분리 경비

입력 : 2017-11-16 19:09:55 수정 : 2017-11-16 22:33:1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북한군 추격조 월선한 JSA는 / 남북 400m·동서 800m 타원 형태 / 현재는 유엔군·북한군 경계석 설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은 원래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경계선이 없는 지역이었다.

북한군 추격조가 군사분계선을 월선(越線)한 공동경비구역은 1976년 북한의 도끼만행 사건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유엔군 측과 공산군 측 경비병력의 자유 왕래가 보장됐다. 공동경비구역은 남북 400m, 동서 800m의 타원형 형태다. 유엔군 측과 공산군 측은 1954년 11월 8일 군사정전위원회 본부 지역 내 지름 800의 공동경비구역을 설치하고 양측의 경비병력 35명씩을 두기로 했다. 1970년대 중반 이전 공동경비구역에서 벤치에 나란히 앉아 다정하게 담배를 나눠 피우는 남북한군의 모습이 뉴스 카메라에 포착됐던 이유다. 현 군사분계선 남측에 북한군 초소도 4개나 있었다.

군사분계선 대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유엔군 경비병력과 북한군 경비병력(맞은편)이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놓고 대치하고 있다. 양측 사이에 설치된 높이 5㎝, 폭 50㎝의 콘크리트 경계석이 군사분계선이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1976년 8월 18일 도끼만행 사건은 모든 것을 바꿔놨다. 미군 장교 2명이 사망하고 한·미군 장병 9명이 부상한 이 사건을 계기로 공동경비구역도 다른 비무장지대(DMZ)와 마찬가지로 분리경비로 전환됐다. 8·18 사건을 논의하기 위해 8월 25일 소집된 제380차 군사정전위원회에서 공산군 측 수석대표인 한주경 북한군 소장은 공동경비구역 내에서도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유엔군과 공산군이 남북의 각자 지역에서만 활동할 것을 제안했다.

유엔군 측은 이 제안을 수용해 9월 6일 제446차 군사정전위 비서장회의에서 분리경비에 합의했고 이 합의는 9월 16일 공식 발효됐다. 이에 따라 공동경비구역은 분할됐다. 본회의장 건물구역엔 유엔군 측에서 길이 52m에 걸쳐 높이 5㎝, 폭 50㎝의 콘크리트 경계석을 설치했다. 본회의장 건물구역 밖에는 10m 간격으로 높이 1m 시멘트 기둥을 유엔군 측이 55개, 공산군 측이 72개를 세웠다. 군사분계선 남측에 있던 북한군 초소 4곳은 철거됐다.

북한은 1996년 4월 4일 정전협정에 규정된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 유지·관리와 관련한 조선인민군의 임무 포기선언을 했다. 2013년 3월 11일에는 정전협정 효력 백지화를 선포했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
  • 오마이걸 유아 '완벽한 미모'
  • 이다희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