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태평양전쟁 징용자 유해, 76년 만에 고국땅 밟는다

입력 : 2019-04-22 18:25:47 수정 : 2019-04-22 23:38:2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타라와전투 희생자 유해 시료 / 정부, 美 협조 받아 정밀감식 중 / 한국인 전사자 1200여명 추정 / DNA 확인 땐 하반기 봉환작업
미국 국가기록관리청이 수집한 일제에 의해 타라와섬으로 끌려간 한국인 노동자들이 부상자를 들것에 태워 가고 있다. 국가기록원 제공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에 강제 동원된 희생자 유해 중 한국인으로 추정되는 유해의 일부 시료가 고국으로 돌아왔다. 정부는 최근 미국 정부의 협조를 받아 1943년 태평양 중남부 타라와전투에서 숨진 유해 중 아시아계로 추정되는 유해 시료 145개를 입수, 정밀감식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유해 시료와 희생자 유가족의 DNA가 일치할 경우 하반기에 정부수립 후 처음으로 태평양전쟁의 희생자 유해가 고국 땅을 밟게 된다.

 

2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의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타라와 강제동원 희생자 유해봉환 추진경과 및 향후 계획’ 등에 따르면 행안부는 이달 초 미국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으로부터 타라와 현지와 하와이 타라와전투 전몰자 무덤에서 발굴한 유해 중 아시아계로 추정되는 유해 시료 145개를 입수했다.

한국에서 6500여㎞ 떨어진 태평양 중남부의 타라와 섬은 키리바시공화국의 땅이다. 일본군이 점령한 타라와 섬에 미군이 상륙작전을 펼치면서 전투가 벌어져 3일 동안 미군과 일본군, 한국인 강제징용 피해자 총 6400여명이 숨졌다. 1946년 이후 간헐적으로 유해를 봉환하던 미국 정부는 2015년 7월부터 미군의 대규모 상륙작전이 이뤄졌던 타라와섬 그린비치 일대에서 유해발굴 작업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미국이 타라와전투 희생자 중 아시아계로 추정되는 유해가 일본으로 넘어간다는 사실을 뒤늦게 확인하면서 태평양 지역 유해봉환 업무에 본격 착수했다. 행안부는 타라와전투에서 숨진 일본군·군무원 전사자 4700여명 중 한국인이 12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DPAA와 자료공유 및 유전자검사 등 협력관계 강화를 위한 방안을 공식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 행안부는 지난 1월 타라와 강제동원 희생자 유가족 391명을 확인, 이들 중 유전자검사 시료 채취에 동의한 155명으로부터 DNA 정보를 확보했다. 국과수는 상반기 중 DPAA와 양해각서(MOU)를 맺고 유해 감식을 위한 체계적인 소통 채널을 구축한다. 김현기 행안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이날 세계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유족과 일치하는 유해뿐 아니라 유족 확인이 안 되지만 한국인으로 확인될 경우 봉환할 것”이라며 “일본 지역은 민간 노무자까지 포함하고 중국 하이난이나 태평양전쟁 격전지까지 유해봉환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타라와전투 희생자 유해봉환을 계기로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유해봉환 사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2011년부터 한·일관계 경색으로 일본 정부와 합의가 진전되지 못해 일본 내 유해봉환 추진 실적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해방 후 2010년까지 한·일 정부 협력과 민간단체 등을 통해 유해 1만672위가 국내로 들어왔지만 2011년 이후로는 러시아 사할린(71위)과 민간단체(326위)에서 봉환한 유해 397위가 전부이다. 행안부는 올해 사할린과 일본, 타라와 등에서 100여위의 유해를 봉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한정 의원은 “한 분이라도 더 모셔 오기 위해 국회에서도 예산 확충 및 제도 개선에 힘쓰겠다”며 “국민께서도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호소했다.

 

이창훈 기자 corazo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