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창업 지원 기관도 53곳 달해
아이디어 선별·기술 뒷받침·판로 등
통합적인 컨트롤타워 운영 지난해 졸업한 전북 전주대 창업사관학교 1기생 48명의 총 매출액은 50억원이 넘는다. 1인당 평균 1억원의 매출을 올린 셈이다. 지식재산권 114건도 출원·등록했다. 요즘 캠퍼스는 취업 공부하는 학생만 있는 게 아니다. 학업과 창업을 병행하면서 미래의 사업을 키우는 CEO 대학생이 늘고 있다. 현재 창업선도대학은 21개 대학이 선정됐으며, 2017년까지 40개대로 확대된다. 창업선도대학에 선정되면 매년 20억원가량의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창업자에게 최대 7000만원까지 지원해준다. 대학 측은 창업자에게 창업공간은 물론 멘토와 전담 매니저들의 기술지원, 마케팅까지 맞춤형 지원을 하고 있다.
대학생들의 창업 아이디어는 지역 농산물에서 IT(정보기술) 제품까지 다양한 편이다. 이런 아이디어는 창업 동아리와 창업교육센터에서 제품으로 개발된다.
클릭하면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
◆농업에서 모바일까지 다양
일상생활의 불편을 IT와 접목하는 아이디어 제품 개발이 대학생 창업의 1순위다. 지난해 대학생 창업동아리 2949개 가운데 소프트웨어와 모바일 등 지식서비스업이 48%로 절반을 차지했다. 제조업(35%), 기타업종(16%)이 뒤를 이었다.
전북대 김재학(28)씨의 ‘블루버드’는 악취 나지 않는 쓰레기통을 개발했다. 일반적인 쓰레기통에 얇은 반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깔때기를 달아 국물이 아래로 흘러가게 만들었다. 종전 소쿠리에서 라면 국물을 넣을 때마나 나는 악취를 없앴다. 이미 특허출원을 마쳤고, GS편의점에 납품할 예정이다. 아파트 공용 음식물쓰레기통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동신대학교 창업동아리 ‘아이티홀릭팀’은 지난해 12월 캐리어의 무게를 손쉽게 재는 ‘캐리어 백팩’ 제품을 특허출원했다. 캐리어 하단에 4개의 무게 측정 센서를 부착하면 상단에 장착된 LCD에 무게값이 표시돼 가방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캐리어 손잡이와 봉 등 프레임을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캐리어와 백팩 모두 사용 가능하다.
전공 분야의 아이템을 창업으로 이어가는 동아리들도 생겨나고 있다.
전주대 창업동아리 ‘드림걸스’의 창업자 4명 모두가 물리치료학과 재학생들이다. 이들은 라이트스커트(골반벨트)를 개발했다. 젊은 여성들이 산후나 잘못된 습관으로 골반이 틀어지거나 벌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착안했다. 이를 방치하면 건강이나 미용상 문제가 생기게 된다. 골반벨트에 치마레깅스를 결합한 건강용품을 만든 것이다. 다른 사람이 알아보지 못하게 간편하게 입을 수 있다.
최근 전북대에서 열린 창업한마당에서 정충효(오른쪽) 대표이사가 자신이 만든 ‘체어백’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
박근혜정부 출범 후 정부와 자치단체들의 대학생 창업 지원이 어느 때보다 활발하다. 대학들의 창업 인프라도 체계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학생들의 창업을 지원하는 창업휴학제와 창업학과 개설, 창업특기생 모집 등이 전국 대학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창업학과를 개설한 대학은 20개 대학으로 2년 전 7개보다 세 곱절가량 늘었다. 창업휴학도 전체 대학의 20%인 80개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다. 최대 4학기까지 창업 휴학이 가능하다. 창업강좌도 지난해 282개 대학에서 2561개가 운영되고 있다. 1년 전보다 2.5배가 늘었다. 수강인원은 지난해 12만4288명으로 전년도보다 155% 증가했다. 대학이 창업의 보금자리로 변신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중소기업청과 미래창조과학부, 자치단체가 대학생 창업 지원에 나서면서 창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정부의 창조경제 활성화 방침으로 대학생 창업을 지원하는 기관은 53곳에 달한다. 중기청은 대학생 창업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과 자금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미래부는 해외창업 지원과 부처 간 창업정책 연계에 집중하고 있다. 자치단체는 지역 특성에 맞춰 지원사업을 벌이고 있다.
대학과 정부 부처가 국정 핵심인 창조경제에 발맞춰 창업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실제 지원을 받고 있는 대학 창업 현장에서는 기대만큼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창업 지원 내용과 지원책이 대부분 비슷해 차별성이 없다는 점이다. 박근혜정부 출범 후 2년 동안 매년 정부의 벤처·창업 지원금은 2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창업 대학생에게 지원되는 부처만도 6곳으로 분산 운영되면서 사업 간 연계를 통한 효율성이 크지 않은 편이다. 단일 부처가 아이디어 선별에서 기술지원, 투자, 판로 개척까지 담당하는 통합적인 지원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장에서는 대학생 창업과 관련한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는 말한다. 전주대 창업지원단 관계자는 “창업자에게 패키지로 지원하는 연결고리가 아직은 없다”며 “예비 창업자가 정부 부처나 지자체에 관계없이 자신의 창업과 관련된 것은 지원 혜택을 받는 시스템으로 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창업경진대회나 창업박람회에서 관심을 모았던 대학생들의 창업 제품이 투자자를 찾지 못해 창고에 방치된 경우도 있다. 이는 정부의 지원 기관들이 초기 비용 지원에 비중을 두면서 빚어지는 일이다. 실제 학생들의 제품 생산이나 유통망 확보에는 큰 도움을 주지 않고 있다. 대학생들의 창업 제품이 개발됐어도 시장에 나오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을 겪게 되는 것이다.
전주=한현묵 기자 hanshi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