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부동산 가격 상승 때문에”… 청년층·중장년층 순자산 격차 더 벌어졌다

입력 : 2023-09-27 06:00:00 수정 : 2023-09-27 02:09:3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KDI 분석… “부동산값 상승이 원인”
저금리로 임대 가격 오르며 부채↑
금리 인상에 소비 줄이기로 대응
“장기 분할 상환 등 부담 줄여줘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청년층과 중장년층 간 순자산 격차가 50% 가까이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자산의 유무가 희비를 갈랐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자산과 소득이 상대적으로 적은 청년층이 금리가 오르자 부채 상환 부담에 시달리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소비액을 더 많이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미루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6일 발간된 통계청의 ‘통계플러스 가을호’에 게재된 보고서에서 이처럼 분석했다.

사진=연합뉴스

39세 이하 청년층과 40세 이상 중장년층의 순자산 보유액 차이는 2019년 1억6000만원에서 지난해 2억3000만원으로 3년 만에 격차가 45% 확대됐다. 이는 청년층의 순자산이 같은 기간 2억2000만원에서 2억6000만원으로 늘어나는 동안, 중장년층은 3억8000만원에서 4억9000만원으로 증가한 결과다.

김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완화적 통화정책에 따른 부동산 가격 상승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저금리로 인해 주택 매매 및 임대 가격이 상승한 결과 주택보유 비율이 낮고 임차 비율이 높은 청년층은 부채가 늘어난 반면, 부동산을 소유한 중장년층은 자산이 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리가 인상될 경우 청년층의 소비가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김 연구위원의 분석이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고 자산이 부족한 청년층은 금리 상승으로 부채 상환 부담이 늘어나면 소비를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 국내 신용평가사 자료를 분석해보면 기준금리가 1%포인트 인상될 때 20대의 연간 소비가 29만9000원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반면 60세 이상 연령층의 소비는 3만6000원 줄어드는 데 그쳤다. 감소액 기준 20대와 60대의 소비 감소 폭이 약 8.4배에 달하는 것이다. 평균 소비 규모를 고려할 때 20대의 소비 감소 폭은 1.3%, 60세 이상은 0.2%였다.

서울 시내 거리에 부착된 대출 관련 광고물. 연합뉴스

특히 부채가 많거나 소득 수준이 낮은 청년일수록 소비 감소 폭이 컸다. 부채 보유 상위 50%에 해당하는 청년층의 연간 소비는 기준금리 1%포인트 인상으로 26만4000원(1.1%) 감소한 반면, 부채가 없는 청년층의 연간 소비는 2만4000원(0.1%) 감소하는 데 그쳤다. 부채 상위 50% 청년 가구 중 저소득층의 연간 소비 감소 폭은 27만9000원(1.2%)에 달했지만, 고소득층은 9만2000원(0.3%)에 불과했다.

김 연구위원은 “단기적으로는 한계상황에 직면한 청년층 차주에게 기존 채무를 장기 분할 상환 대출로 전환할 기회를 넓혀 단기 상환 부담을 경감하고 장기간에 걸쳐 상환할 수 있도록 보조할 필요가 있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청년층 차주가 합리적인 수준에서 부채를 보유할 수 있도록 부동산 가격의 하향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츄 '깜찍한 브이'
  • 츄 '깜찍한 브이'
  • 장원영 '오늘도 예쁨'
  • 한소희 '최강 미모'
  • 수현 '여전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