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한·중 정상회담을 갖고 시대의 변화에 발맞춰 양국 간 협력관계의 성숙한 발전을 추구해나가자는 데에 뜻을 모았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북 경주의 경주박물관에서 시 주석과 약 100분에 걸친 한·중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정상회담 후 국제미디어센터(IMC)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이날 회담의 성과에 대해 “이재명정부의 국익과 실용에 기반한 대중(對中) 외교를 통해 한·중 관계를 전면적으로 복원했다”며 “지금까지 한·중 관계 발전에 부침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대내외 환경의 변화 속에서도 국권피탈시기의 어려움을 함께 극복해왔던 한·중 공동의 역사적 경험과 양국 모두의 경제 성장을 견인했던 호혜적인 협력의 성격에는 변함이 없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또 “한·중 관계 발전의 기반을 튼튼히 하기 위해 양국 정부 간 정치적 신뢰를 확보하고 민간 차원에서도 우호적 신뢰 축적을 병행해나가기로 했다”며 “특히 한·중 간 고위급에서의 정례 소통 채널을 가동해 한·중 관계 현안 및 지역·글로벌 이슈에 대한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을 통한 양 국민 간 상호 이해를 제고하고 우호 정서를 증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양국 간 ‘수평적 협력’에 기초한 호혜적 협력 추진과 민생 분야의 실질적 협력 성과 모색도 성과로 꼽았다. 위 실장은 “양 정상은 2009년부터 계속돼온 한·중 통화스와프 계약 연장을 환영하며 한·중 FTA 서비스·투자 협상의 실질적 진전 협의에 속도를 내고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한 협의 채널을 다양화하면서,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문화·환경 분야에서도 “양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협력을 발전시켜나가는 한편 양국 간 인적교류 활성화를 목표로 상호 방문 편리화 조치를 시행하는 등 노력을 지속해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양 정상은 최근 양국 국민이 모두 초국가적 스캠 범죄 단지로 인한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과 관련해 한·중 간 대응 공조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이날 회담에서는 한반도 평화 문제도 논의됐다. 위 실장은 “(양 정상은) 한·중 관계 발전이 민생의 문제와 평화의 문제 모두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도록 노력해나가기로 했다”면서 “이 대통령이 우리 정부의 비핵화 및 평화 실현 구상을 소개하고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위한 중국의 건설적인 역할을 당부한 데 대해 시 주석도 한반도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화답했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이날 회담에서 이 대통령에게 방중을 요청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핵추진잠수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44.jpg
)
![[기자가만난세상] 한 줄의 문장을 위해 오늘도 뛴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04.jpg
)
![[세계와우리] 멀어진 러·우 종전, 북핵 변수 될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31.jpg
)
![[삶과문화] 공연장에서 만난 안내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767.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