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붓끝은 사람의 희로애락에 춤춘다” 개인전 앞둔 원로작가 산정 서세옥 입력 2016-04-12 16:05:11, 수정 2016-04-12 21:14:37 “화가도 인간이다. 인간이 흥미를 가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나는 인간 형상을 다각적으로 표현한다. 외톨박이가 있고, 함께 울고 웃는 사람도 있다. 어머니가 아이를 품고 있는 모자상도 있다. 어깨동무를 하거나, 서로 손잡고 춤추면서 환호하는 인간도 그린다. 때로는 몸은 사라지고 인간이라는 껍데기만 남긴 작품도 있다. 희화적인 것도 있고 여러 소재가 다 등장한다.”
산정은 전시에 맞춰 평소의 글을 모아 ‘산정어록’도 출간했다. 작가로서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겼다. “그림이 쉬운 일이 아닌 것은 그림이 하늘과 땅을 감싸 안아야 하고 과거와 미래를 감싸 안아야 하고, 또한 하늘과 땅을 놀라게 하고 과거와 미래를 놀라게 하고, 또한 하늘과 땅을 허물어 버리고 과거와 미래를 허물어 버리는 일인 까닭이다. 화가의 붓끝은 이러한 일들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 그는 늘 화가로서 되묻는다. “어둡고 고요한 밤, 어디에선가 종소리가 아득하게 울려온다. 나는 꿈속에서 꾸던 꿈을 화들짝 깨면서 애초부터 꿈속의 꿈이었던가를 스스로에게 되물어 본다. 그에게 화가란 어떤 존재일까. “예부터 화가의 일을 ‘도룡’ 이라고 했지. 무찌를 도(屠) 자와 용 룡(龍) 자. 용을 사로잡는다는 뜻이지. 가만히 생각해보면 말이야, 용이라고 하는 것은 뱀에다 발과 뿔을 달아 가상으로 만들어 놓은 동물인데, 사람이 가상적인 동물을 사로잡으려고 일생을 걸어, 그게 화가지.” 그는 가시적인 대상에 노예 노릇을 거부한다. “절대의 큰 바다에는 형태가 없어, 나는 때때로 대상을 초월하여 무극(無極)의 저 공간에서 무언가를 찾으려고 하지. 거기에는 절대해방과 절대자유가 있지.” 요즘도 밤늦도록 한학 책들과 씨름을 한다. 붓질의 길은 거기서 나온다. “인간은 유한하다. 때문에 영원을 동경한다. 있으면 반드시 없는 것이 뒤따르고 없으면 반드시 있는 것이 뒤따른다. 이것이 바퀴처럼 영원히 돌고 도는 무극의 참모습이다. 이를 통찰할 때 우리는 무아의 경지에 도달하게 된다.” 어느 산사의 큰 스님으로부터 법문을 듣고 있는 착각이 밀려 올 즈음 그가 한 말은 초월의 미학이었다, “저 절대의 소리를 귀로 듣지 않고 눈으로 듣는 것이 관음(觀音)이요, 저 절대적 향내를 코로 느끼지 않고 귀로 느껴야 하는 것이 문향(聞香)의 경지다. 이것이 화가가 알아야 할 초월의 미학이다.” 편완식 미술전문기자 wansik@segy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