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정권 시절이던 1974년 당시 문교부가 사학계의 반대에도 국정 국사교과서를 강행하며 내세운 주요한 근거다. 정부 정책과 시책을 효율적으로 반영하면서도 행정업무의 편의를 제고하자는 취지에서다.
국정 국사교과서가 처음 등장하는 순간이다. 종이질은 좋아졌고 컬러 사진이 4쪽에 걸쳐 실렸지만 당시 국정 교과서의 집필기간은 겨우 2개월에 불과했다.
국사가 고교 교과서로 공식 편찬되기 시작한 건 1955년부터다. 제2차 교과과정(1964∼74년)까지는 정부 심사를 거친 검인정 교과서가 사용됐다. 1970년대 초·중·고교에서 각각 11종의 검인정 국사교과서가 사용됐다.
국정 국사교과서는 1974년 처음 만들어진 뒤 ▲1979년 ▲1982년 ▲1990년 ▲1996년 ▲2002년 ▲2006년까지 모두 7차례 제작됐다.
국정이었지만 교과서의 내용과 방향성은 춤을 췄다.
유신 이후 만들어진 1974·1979년 교과서는 박정희 정권의 5·16이나 10월유신, 새마을운동 등을 매우 우호적으로 평가했다. 1982·1990년 교과서들은 12·12사태 등에 대해 긍정 기술한 반면 5·18광주민주화운동은 외면하거나 간략히 언급하는 데 그쳤다.
민주화 이후인 1996년 교과서부터 민주주의에 대한 기술이 강화되면서 5·16이나 12·12 모두 부정적으로 바뀌었다. 1996년판부터는 친일파 청산문제가 처음 추가된다. 2007년부터 다시 검인정 체제로 돌아갔다.
홍주형 기자 jh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