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순진(사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8일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기후변화는 현 세대보다 미래 세대에게 더 중요하다”며 “청소년에게는 생존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미국에서는 미래에 닥쳐올 일인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의 준비 책임을 엄격하게 물었다. 국가는 그 분야에 대해 책임지고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윤 교수는 세월호를 예를 들며 과연 우리나라에서 미래의 위험을 평가하자는 일에 얼마나 동의를 얻을 수 있을지 의구심을 나타냈다. “만약 세월호 사고 전에 누군가 배 관리가 부실하고 규정에 문제가 있어 침몰 위험이 크다. 지금의 규정은 부실하니 정부가 관리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면 이를 인정받을 수 있었을까”라고 되물었다. 한국 사회는 선례를 중요시하다 보니 새로운 시도나 문제 제기가 힘을 얻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윤 교수는 “과거에만 머물러서는 기후변화 같은 새로운 문제에 대응하기 어렵다”며 “새로운 시각에서 진취적인 결정이 필요한 시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기후변화는 인권 문제”라고 거듭 강조했다. “아이들의 건강이나 재산, 생활환경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게 될 미래에는 결국 인간이 피해를 보는 인권 문제가 될 것”이라며 “개발을 통해 이익을 보는 사람들의 목소리 대신 앞으로 그 피해를 안고 살아갈 미래 세대에 대한 배려와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병욱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