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가장 ‘뜨거웠던 9월’… 겨울엔 ‘최강 한파’ 온다

입력 : 2024-10-08 19:00:00 수정 : 2024-10-08 18:27:0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기상청, 기후특성 분석 결과

폭염일수 6일… 열대야 일수 4.3일
서울 등선 관측 이래 첫 폭염 기록
평균기온도 24.7도로 역대 최고치

해수면 온도 27.4도 최근 10년 1위
평균강수량 241㎜… 평년比 86㎜↑

12월 라니냐 영향 강추위 가능성

‘가을 폭염’이란 신조어가 나올 만큼 무더웠던 올해 9월 전국 평균기온이 평년 대비 4.2도나 오르며 1973년 관측 이래 가장 더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9월 전국 평균 폭염일수는 6일로 평년보다 30배 증가했고, 열대야는 4.3일로 평년 대비 43배나 폭증했다. 9월에도 여름 날씨가 지속된 것과는 달리 다가오는 겨울에는 라니냐 현상의 영향으로 한파가 찾아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기상청이 8일 발표한 ‘2024년 9월 기후특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평균기온은 24.7도로 나타났다. 평년(20.5도)보다 4.2도 높은 수치로 지난해 9월(22.6도)과 비교하면 2.1도 더 올랐다. 평균 최저기온은 20.9도로 관측 이래 처음 20도를 넘어섰고, 평균 최고기온은 29.6도로 30도에 육박했다.

지난 9월 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시민들이 신발을 벗은채 더위를 식히고 있다. 뉴스1

특히 서울과 충남 서산, 인천 강화, 경기 이천, 충북 보은, 전남 고흥, 전북 장수 7개 지점에서는 1973년 이래 첫 9월 폭염이 발생했다. 강원 춘천, 경기 양평, 충남 금산, 전북 임실 4개 지점에서도 같은 기간 첫 9월 열대야가 나타났다.

바다 역시 뜨거웠다. 지난달 한반도 주변 해역의 평균 해수면온도는 27.4도로, 최근 10년 평균(24.2도)보다 3.2도 높은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서해의 해수면온도는 26.7도로 최근 10년 평균보다 3.6도나 높았다.

기상청은 이 같은 고온 현상의 원인으로 북인도양과 필리핀 부근의 대류 활동 증가를 지목했다. 북인도양의 대류 활동 증가로 티베트고기압이 발달해 우리나라 상층에 고기압성 흐름이 형성됐고 필리핀 부근의 대류 활동 증가로 우리나라 동쪽에 북태평양고기압이 발달해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됐다는 설명이다.

기온이 크게 오르면서 강수량도 평년을 웃돌았다. 지난달 전국 평균 강수량은 241.0㎜로, 평년(155.1㎜)보다 85.9㎜ 더 많았다. 1973년 이래 12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특히 9월20~21일 이틀간 전국에 걸쳐 많은 비가 내렸는데, 창원에는 529.4㎜의 폭우가 쏟아졌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이례적으로 여름철 더위가 9월 중순까지 이어졌으며, 길었던 더위가 물러나자마자 기록적인 호우로 인해 곳곳에서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3월 8일 서울 광화문네거리에서 시민들이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연합뉴스

무더위가 지나가기가 무섭게 올겨울에는 강력한 한파가 찾아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기상청의 장기 전망에 따르면 12월부터 기온이 평년(1.1도)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북서쪽에서 남하하는 대륙 고기압(시베리아 기단)의 영향과 함께, 동태평양의 라니냐 현상 전환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라니냐는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도 이상 낮은 상태가 5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세계기상기구(WMO)는 다음달까지 라니냐로 전환될 가능성이 55%라고 밝혔다. 라니냐가 발생하면 시베리아의 차가운 공기가 동아시아로 더 강하게 유입돼 한반도에 강력한 한파와 폭설을 초래할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제트기류가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한반도 상공에 더 많은 한랭 공기가 머물게 될 경우, 극단적인 추위가 예상된다.

기후 전문가들은 이번 겨울이 영하 18도 이하의 극심한 추위가 있었던 2021년, 2022년과 비슷한 수준의 한파를 기록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또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해양 온도가 상승해 겨울철 대기의 불안정성이 더욱 증가할 수 있어, 극단적인 기상현상이 더 빈번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해수면 온도와 북극 해빙 등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성이 매우 커 아직 단정 지을 순 없지만, 12월에는 평년보다 더 추울 가능성이 크다”면서 “올겨울 한파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예림 기자 yea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공효진 '공블리 미소'
  •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
  • 송혜교 '부드러운 카리스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