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축제 직접매출 작년比 100억 ↓
지역사랑·온누리상품권 포함한
간접매출 1.7조원으로 74% 늘어
중기부, 첫 해외 개최식 등 홍보전
3高 따른 구매력 저하 극복 못해
전문가 “재정 확대 등 대책 마련을”
15일 서울 용산구 용문전통시장에서 채소 가격을 살펴보던 주부 안모(66)씨가 한숨을 내쉬며 이렇게 말했다.
안씨는 최근 급격히 오른 배추값 때문에 매년 하던 김장을 포기했고, 식후 먹던 과일도 부담이 돼 양을 줄였다고 한다.
안씨는 “식료품 구매도 줄이는 판에 축제 참여나 다른 물건을 사는 거는 더 꺼려진다”며 “누구든 물가 좀 잡아줬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급랭한 소비자 체감경기에 정부의 내수경기 활성화 사업인 ‘9월 동행축제’ 직접매출액이 지난해에 비해 100억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지금처럼 경기침체가 심각한 상황에 동행축제와 같은 미봉책은 효과를 보기 어렵다며 근본적인 경기부양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32일간(8월28일∼9월28일) 열린 이번 9월 동행축제의 온·오프라인 직접매출액이 지난해(7350억원)보다 128억원 줄어든 7172억원을 기록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행사가 지난해보다 3일 더 길게 열린 점과 물가 상승률 등을 고려하면 실질 매출액은 드러난 숫자 이상 더 많이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사랑상품권, 온누리상품권 판매액을 의미하는 간접매출액은 1조7112억원으로 전년 동기(9785억원) 대비 74%가량 늘었다. 15%라는 파격적인 할인율에 개인 구매 한도 상향으로 ‘사재기’ 바람이 분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 이번 동행축제 기간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사랑상품권 판매액은 각각 1조3920억원, 3192억원이다.
이번 동행축제는 개최식을 최초로 해외(베트남 하노이)에서 진행하는 한편 전년보다 소상공인·전통시장 판촉전 행사와(90곳→98곳) 대형 유통사와의 상생기획전(6곳→12곳) 규모도 확대하는 등 침체된 내수경기를 살리기 위해 중기부가 만전을 기한 행사다.
홍보에도 힘썼다. 전국 34개 야(夜)시장의 먹거리와 즐길거리를 모아서 소개한 ‘별별야시장’ 쇼츠(189만회) 등 13편의 쇼츠영상들이 총 954만회의 조회 수를 기록하며 동행축제를 알렸다. 아울러 52명의 청년서포터즈와 K글로벌특파원들이 각종 지역행사 정보와 할인 혜택 등을 소개하며 적극적인 홍보에 앞장섰다.
이러한 노력에도 행사 실적이 저조한 이유로는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력 저하가 꼽힌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통계청의 ‘서비스업 동향 조사’ 데이터를 분석해 작성한 ‘최근 소매 판매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불변지수 기준) 증가율은 지난해 동기 대비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카드 대란’으로 내수 소비가 크게 꺾였던 2003년(-2.4%)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최정만 서울 강서구 방신전통시장 단장은 “축제 기간 젊은 사람들이 많이 찾아줘 매출이 증가하고 아직까지 후광효과 탓인지 손님이 이전보다 많이 찾는다”면서도 “근본적으로 소비심리가 살아나지 않으면 이러한 부양책은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본격적인 경기부양책이 필요한 때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세은 충남대 교수(경제학)는 “지난해 50조원, 올해는 30조원 세수펑크가 났다. 이것을 지방교부금 삭감 등 불용으로 대처하고 있는데 그게 결국 누군가의 월급을 줄이는 일”이라며 “정부가 재정을 풀어 서민의 지갑을 채워주지 않는 한 내수경기든 축제든 큰 효과를 거두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