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한 그루·풀 한 포기까지도 총과 칼 앞세워 굴복시켜
“화장실 좀 갔다 와도 되겠습니까?”
살인죄로 감옥에서 평생을 보낸 레드(모건 프리먼 분)가 40년 만에 석방돼 처음으로 일을 하게 된 어느 대형 슈퍼마켓의 계산대. 잠시 한가한 틈을 타 주변에 서 있던 지배인에게 조용히, 그러나 공손하게 물어본다.
“그런 건 내게 묻지 않아도 괜찮아요. 제발 가고 싶을 때는 언제든 갔다 오세요.” 당황과 곤혹, 짜증과 경멸이 섞인 지배인의 귓속말. 이후 시청자들에게 들려오는 모건 프리먼의 독백. ‘감옥에선 화장실을 다녀오려면 반드시 간수의 허락을 받아야 했다. 그렇게 40년을 살아왔다…. 내가 이 세계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
살인죄로 감옥에서 평생을 보낸 레드(모건 프리먼 분)가 40년 만에 석방돼 처음으로 일을 하게 된 어느 대형 슈퍼마켓의 계산대. 잠시 한가한 틈을 타 주변에 서 있던 지배인에게 조용히, 그러나 공손하게 물어본다.
“그런 건 내게 묻지 않아도 괜찮아요. 제발 가고 싶을 때는 언제든 갔다 오세요.” 당황과 곤혹, 짜증과 경멸이 섞인 지배인의 귓속말. 이후 시청자들에게 들려오는 모건 프리먼의 독백. ‘감옥에선 화장실을 다녀오려면 반드시 간수의 허락을 받아야 했다. 그렇게 40년을 살아왔다…. 내가 이 세계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
◇‘도에이 미타’라는 지하철 노선의 ‘가수가’ 역 스크린 도어에 붙어 있는 금지 표시들. ‘스크린 도어에 기대지 말라’는 것에서부터 ‘스크린 도어를 넘어가지 말라’는 것에 이르기까지 모두 7개의 금지·주의 표시가 붙어 있다. |
“나는 이 나라에서는 대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전혀 짐작이 가지 않는 나 자신에 대해, 또 내가 이때까지 받아온 예절을 비웃는 것처럼 느껴지는 환경에 대해 분노를 느꼈다. ···나는 나 자신이 다른 세계에서는 아무 소용도 없는 감각과 감정을 가진, 다른 유성에서 떨어져 온 생물체처럼 느껴졌다. 모든 동작을 얌전하게 하고, 모든 말투를 예의에 맞도록 하기를 요구하는 나의 일본식 예절이, 이 나라(미국)의 환경 속에서―거기에서 나는 사회적으로 완전히 장님이었지만―나를 극도의 신경과민과 자의식에 빠지게 했다.”
◇일본 지하철이 조용할 수밖에 없는 이유 중 하나. 전동차 손잡이에도 휴대전화의 전원을 끄라는 경고 표시가 붙어 있다. |
지난 1000년간 군인들이 백성의 생사여탈권을 움켜쥐어 온 나라. ‘금지’라는 규범과 ‘복종’이라는 도덕률로 열도 안의 나무 한 그루, 풀 한 포기까지 칼 아래 굴복시켜온 나라. 명령과 지시, 무력과 강압이 상부구조를 형성하고, 순종과 침묵, 타율과 몰개성이 자연스레 하부구조로 뒤따라온 나라. 그런 일본은 영화 ‘쇼생크 탈출’에서 바깥 사회에 도저히 적응하지 못한 모건 프리먼이 자살을 기도했던 ‘금지의 왕국’이다.
이런 ‘금지’와 ‘통제’의 상부구조는 일본 역사상 가장 안정적인 군인 정권을 수립한 도쿠가와 이에야스 막부에 이르러선 절정에 다다르게 된다. 막부의 허락 없는 영주들 간의 통혼(通婚)은 불법으로 규정됐거니와 지방의 모든 영주는 막부 정권의 감시를 위해 격년제로 수도(도쿄)에 올라와 근무해야 했다. 물론 그들의 부인과 아이들은 항시 도쿄에 볼모로 잡혀 있어야 했고. 해서, 에도 막부의 서쪽 관문에 해당하는 하코네에서 행해졌던 가장 중요한 업무 가운데 하나가 혹시 있을지도 모를 볼모들의 탈출 색출이었다.
지방 영주와 그 가족들에 대한 감시가 이럴진대 백성들에 대한 통제는 오죽했을까? 예를 들면 당시 막부 경제의 근간이었던 농민들은 사농공상의 분리 원칙에 따라 한평생 농촌에서만 살아야 했으며, 여행 허가증 없이 여행하다 발각될 경우에는 사형에 처해졌다. 물론 전답을 사고파는 일은 꿈조차 꿀 수 없었다. 농민들은 또 ‘5인조’ 제도라는 상호 감시제도를 통해 세금 불납(不納)과 야반도주, 범죄에 관한 연대책임을 져야 했다. 이러한 상호 감시제도는 메이지 유신 때 잠시 폐지됐다가 통치의 유용성 때문에 다시 ‘도나리구미(隣組)’라는 새 이름으로 부활해 농민들을 괴롭힌다.
그렇다고 이러한 사실이 단지 과거 속의 비극이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장면을 현재로 옮겨와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가는 곳과 보는 것, 앉는 자리와 일 보는 장소가 온통 금지투성이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람이 많이 몰리는 전철과 공공장소는 금지와 통제의 성지(聖地)나 다름없다. 예를 들어 전철 역에 들어서면 ‘24시간 금연’, 에스컬레이터를 탈 때면 ‘두 줄 서기 금지’가 승객을 맞이한다. 지하철 승강장에 당도하면 ‘승강장 스크린 도어에 기대지 말라’고 경고하고, 전철 문이 열릴 때면 ‘손이 문틈에 끼인다’고 겁준다. 전철 문이 닫힐 때면 ‘전철 안으로 뛰어들지 말라’고 확성기로 다짐하고, 전철 벽과 전철 손잡이에선 ‘전화벨을 진동 모드로 바꾸라’는 경고장을 날린다. 그래도 안심이 안 되는지 일본어·영어를 총동원해가며 차내 방송을 통해 끊임없는 통화 드잡이에 나선다. 지나친 경고는 눈치를 불러오고, 눈치는 위축으로 이어지는 법. 공손하지만 수동적이며 남의 일엔 무관심하기만 한 일본인을 이해하기 위한 연립 방정식의 ‘정해(正解)’다.
◇도쿄 신주쿠 역 출입구에 붙어 있는 금지 표시 목록. 집회·무단 노숙·배회·음주·대규모 성냥 반입 등 모두 10가지의 금지 목록이 지하철 역장과 경찰서장 명의로 나열돼 있다. |
그런 의미에서 ‘자살 금지’ 표시만 없는 일본의 현실은 더욱 아이러니하게 다가온다. 자살 금지 표시가 없어선지, 아니면 여타 금지 표시에 시달려서인지 모르지만, 세계 최고의 자살률로 악명을 떨치고 있는 국가가 ‘일본’이기 때문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