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31명… 가장 많았던 YS시절 35명 육박

16일 세계일보 취재팀의 분석 결과 지난 17년 동안 4개 정권을 거쳐 특별사면·복권된 유력 경제인은 86명으로 이들의 평균 수감기간은 5개월3일인 것으로 조사됐다. 장기복역한 정태수 전 한보그룹 회장(65개월), 김철호 전 명성그룹 회장(115개월)을 빼면 경제인 평균 수감기간이 고작 3개월이었다.
YS 재임 중 경제인들은 평균 2개월9일 복역한 뒤 사면됐고, 김대중(DJ) 정권 때는 정태수·김철호씨를 제외하면 7개월27일이었다. 이에 반해 노무현 정권 때는 복역기간이 파악되지 않는 3명을 제외한 28명의 평균이 한달도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현 정권의 경우 특별사면된 기업인 대부분이 불구속기소됐기 때문이다.
노태우 정권 때는 주요 경제인 사면이 한 건도 없었다. 정경유착의 폐해가 심하다는 평가를 받던 정권의 성격 탓인지 기소된 유력 경제인도 거의 없었다.
경제인이 유죄확정 판결을 받은 범죄는 불법 정치자금 등과 관련된 뇌물, 정치자금법 및 선거법 위반 사건이 전체의 45%인 42건을 차지했다. 기업의 본질적인 비리인 조세포탈이나 횡령, 배임 등의 혐의가 적용된 경제인은 37%(34건)였다. 또 기소된 경제인의 60%(52명)는 집행유예로 풀려났고, 3년 이상 징역을 산 사람은 3명에 불과했다.
기업인들이 조세포탈, 횡령을 하는 주된 이유가 정·관계에 은밀히 제공하는 비자금 조성용이란 것을 감안하면 조사대상 경제인 범죄의 80% 이상이 정경유착 유형인 것으로 추정된다.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한상희 소장(건국대 교수)은 “부정부패 경제인 사면 때 늘 경제살리기와 사회통합을 명분으로 내세우지만 국민의 시각에서는 ‘대분열’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법원에서 경제 공헌도 등을 감안해 집행유예 등으로 감형해 주는데, 재빨리 사면시켜 주는 것은 지나친 특혜”라며 “국민들은 사회정의 자체에 회의를 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사회부 특별취재팀
cjord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