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할 경우 마비 증세까지 나타나
예방 위해 평소 바른 자세 유지를
척추는 20∼30대를 지나면서 척추관절이 단단하게 변성되는 노화 현상이 시작된다. 50대 이후에는 퇴행성 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척추 안의 신경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키는 척추관협착증이 발생한다. 부위에 따라 경추관협착증(목부분)과 요추관협착증(허리부분)으로 나뉜다. 요추관협착증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해 널리 알려졌지만 최근 컴퓨터와 스마트기기 사용 증가로 경추관협착증도 급증하고 있다.
목디스크가 통증과 함께 감각 이상이 곧바로 나타나는 것과 달리 척추관협착증은 서서히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초기에는 주로 목 부위의 통증, 어깨와 양팔의 통증, 양팔의 운동능력 및 감각 이상 등이 느껴진다. 목 부분의 척수는 어깨와 팔로 가는 신경뿐 아니라 다리까지 가는 신경이 모두 지나기에 증상이 반복되면서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심해지면 보행장애나 배뇨 장애 등의 마비증상이 나타난다.
구로예스병원 성주용 원장은 “경추관협착증은 디스크가 빠져나와 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목디스크와 초기 증상이 비슷해 일반인은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며 “엑스레이 촬영으로 경추의 퇴행성 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MRI 검사를 통해 척수관 자체가 좁아졌는지, 눌린 신경 부위가 어디인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고 말한다.
성 원장은 “초기에는 약물 치료, 물리치료와 신경성형술 등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시행하지만 근력 저하, 마비 증세 등이 보일 때 미세현미경과 레이저를 이용해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주는 미세현미경감압술을 시행한다”고 설명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잘못된 자세와 생활 습관을 고쳐 건강한 목의 C라인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책상에 앉을 때는 허리를 반듯이 펴서 등받이에 바짝 붙이고 고관절과 무릎의 각도는 90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컴퓨터를 볼 때 목을 앞으로 길게 빼는 습관이나 책상에 엎드려서 팔을 베고 자는 자세는 목 건강에 좋지 않으므로 반드시 고쳐야 한다. 운전이나 컴퓨터 작업 등 장시간 같은 자세를 취해야 할 때는 한 시간마다 한 번씩 목 주변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하면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된다.
김신성 기자 sskim65@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