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 행정안전부, 문화관광부는 26일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차세대 모바일 주도권 확보 전략’을 보고했다. 그러나 통신업계에선 “자세히 들여다보면 ‘계획을 위한 계획’이란 식이어서 구체적이지 못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모바일 일류 국가 청사진
정부의 모바일 강국 전략은 결국 데이터의 중심 통로를 유선에서 무선으로 옮기는 기폭제가 될 4G 통신산업에서 CDMA와 같은 독자기술을 개발,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주요 내용은 4G 분야 핵심기술 역량 확보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조기 구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앞으로는 4G 무선망 시스템 상용화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베이스밴드 모뎀칩, RF모듈, UI와 충전기 등 차별화 부품 분야의 기술개발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관련 업계는 또 네트워크와 장비, 소프트웨어 등의 분야가 함께 발전하는 선순환적인 모바일 생태계 조성을 위해 차세대 통신망인 LTE(롱텀에볼루션)에 대한 본격 투자를 하반기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서비스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4G 시대에 필요한 주파수 수요량 분석을 통해 주파수 확보계획을 수립하고, 범부처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상반기 중 마련키로 했다. 기술 인프라 보강을 위해서는 대구 구미에 2014년까지 총 1935억원을 투자해 연구개발(R&D), 테스트 및 인증 인프라 역할을 하는 글로벌 모바일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바빠진 통신업계
통신업계도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등은 LTE 장비업체를 선정하는 등 차세대 망 구축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날 삼성전자, LG에릭슨, 노키아지멘스를 LTE 장비 제공 사업자로 최종 선정하고, 올 7월 국내 최초 상용화를 위한 망 구축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이미 지난해 12월 LTE 교환기 장비 분야에서는 LG에릭슨과 삼성전자를, 기지국 장비 분야에서는 LG에릭슨, 삼성전자, 노키아지멘스를 선정한 상태다.
이와 관련, SK텔레콤은 LTE 구축 시 수요가 감소할 전망인 중계기 생산업체들과의 상생을 위해 국내 중소업체들도 중계기 활용을 위한 정합장치 등을 비롯해 LTE 기지국 장비 가운데 상당 물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