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걸리기 전부터 종종 죽음 얘기
밥딜런 만났을땐 긴장… 말 더듬어 “스티브 잡스를 분발시킨 가장 중요한 동기는 인생이 짧다는 사실이었다. 그는 죽기 전에 인류에게 기여할 수 있는 흔적을 남기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했다.”
애플의 공동 창업주 스티브 잡스의 전기를 쓴 월터 아이작슨은 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애스펀연구소에서 세계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했다. 잡스의 전기를 쓰며 그를 가장 가까이서 지켜본 그는 잡스의 삶과 뒷얘기를 털어놓았다.
아이작슨은 1984년 시사주간 타임의 기자 시절 잡스와 인연을 맺었으며 타임 편집장, CNN 최고경영자를 거쳐 현재 애스펀연구소 회장 겸 최고경영자로 일하고 있다.
잡스의 요청으로 그의 전기를 쓰게 된 아이작슨은 잡스를 약 50차례 인터뷰했다고 한다. 100명이 넘는 주변 인물도 취재했다. 아이작슨은 “그의 임종이 가까워졌을 때 전기에 쓰고 있는 내용을 말해줬다”며 “그는 자신이 좋아하지 않는 많은 내용이 담겨 있긴 하지만 괜찮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잡스가 유일하게 관여한 부분은 책 표지였다. 그는 단순하고 세련된 표지를 원했다고 한다.
잡스는 죽음 앞에서 담담했다고 한다. 아이작슨은 “그는 암에 걸리기 전에도 죽음에 관한 얘기를 자주 했으며, 우리는 태어나고 죽으며 아주 짧은 삶을 부여받았기 때문에 열정에 따라 할 수 있는 일을 해야만 한다는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또 “선불교 수련을 쌓은 때문인지 잡스는 윤회를 믿었으며, 눈에 보이는 것 너머에 그 무엇이 있다고 믿었다”고 말했다.
월터 아이작슨 |
하지만 “누구보다 ‘창조적인 인간’이었으며, 잡스의 창조성은 다른 생각을 하는 능력, 가장 아름다운 제품을 만들고자 하는 열망에서 나왔다”고 말했다.
무엇이 잡스를 위대하게 만들었을까. 아이작슨은 이 물음에 “잡스는 위대한 제품으로 세상을 변화시켰다”면서 “그는 컴퓨터를 발명하지 않았지만 컴퓨터 업계를 변화시켰고, 뮤직 플레이어와 휴대전화를 발명하지 않았지만 음악산업과 휴대전화산업을 변화시켰다”고 답변했다.
이어 “그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그랬듯이 애플의 유명한 광고 카피처럼 ‘다른 것을 생각(Think Different)’한 천재”라고 규정했다. 전기를 쓰는 과정에서 잡스에게 경도된 것은 아닐까. 그는 “감정적으로 그에게 끌린 것은 사실이지만, 사실에 근거해 최대한 정직하려고 노력했다”면서 고개를 저었다.
잡스 전기에는수많은 인물이 등장한다. 잡스를 입양한 양부모와 애플 공동창업자인 스티브 워즈니악, 선불교 스승인 스즈키 순류, 그리고 잡스와 인연을 맺은 여러 여인들…. 아이작슨은 잡스의 현재 부인인 로런 파월이 잡스의 삶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말했다. 20여년 동안 헌신적인 사랑을 통해 그의 낭만적이면서도 통념을 거스르는 성향과 과학적이고 사무적인 성향을 통합하는 데 도움을 줬다는 이유에서다.
아이작슨은 잡스 없는 애플의 미래를 “향후 5년에서 10년은 번성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낙관했다. 잡스는 생전에 삼성과 치열한 지식재산권 전투를 벌였다. 그럼에도 잡스의 전기에는 삼성 관련 언급이 없다. 아이작슨은 “잡스는 삼성을 애플의 훌륭한 동반자로 생각했지만, 삼성과 대만 기업 HTC 등이 사용한 안드로이드가 애플의 운영체제를 도용했다는 점에서 매우 분개했다”면서 “자서전 집필 과정에서는 잡스가 삼성 얘기를 거의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아이작슨은 전기에서 “잡스가 너무 긴장해서 말을 제대로 할 수 없었던 적은 가수 밥 딜런을 만났을 때 뿐”이라고 썼다. 잡스는 왜 밥 딜런에게 열광했을까. 아이작슨은 “잡스는 밥 딜런이 자신의 세대를 대변한 반항아이자 시인이었다고 생각했고, 무엇보다 밥 딜런이 계속 변화했다는 점을 좋아했다”고 설명했다.
워싱턴=조남규 특파원 coolm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