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모어가 1516년에 펴낸 ‘유토피아’는 지구 상 어디에도 없는 이상향을 그렸다는 점에서 서양판 무릉도원에 속한다. 당시, 영국 사회는 농경지를 갈아 엎고 목초지를 조성해 양을 키우는 ‘인클로저’ 운동이 열병처럼 번지고 있었다. 국제적으로 양털 값이 크게 오르자 소작인들로부터 얼마 되지도 않는 소작료를 받느니 차라리 양을 길러 떼돈을 벌자는 움직임이 상류 사회를 강타한 것이다. 결국, 하루아침에 농경지에서 쫓겨난 농민들은 부랑자나 떼도둑으로 전락하고, 영국 왕실이 이들을 폭도로 규정, 무자비하게 사형시켜 버림으로써 사회 민심은 흉흉해지기 시작했다. 그러고 보면, 500년 뒤의 한국 용산에서도 유사한 비극은 되풀이된다.
◇필자가 거주하는 15층 아파트의 주차장. 총 52가구가 살고 있는 아파트에는 사진과 같은 주차기계가 3대 설치돼 있다. 위아래로 3대씩 주차가 가능하다. |
중국보다 더 공산주의적이고 러시아보다 더 사회주의적이며 북한보다 더 전체주의적이라는 면에서 일본은 분명 공산주의 국가다. 비록, 공산당이 집권한 적은 없지만, 공산당이 집권해도 외형상 별다른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생각은 그래서 더더욱 힘을 받는다. 실제로, 2009년 총선에서 일본 공산당이 내걸었던 최대 공약 가운데 하나가 ‘의료비 무료화’와 ‘아동 수당 2배 인상’이라는 지극히 평범한 슬로건이었다(참고로, 필자가 거주하는 도쿄 신주쿠는 중학생까지 의료비가 무료다).
‘경제적 동물’이라는 비아냥을 들으면서도 인간의 욕망을 상품화하는 데는 일가견이 있는 일본이 자본주의도 아닌 공산주의 국가라니? 이유는 바로 일본 국민의 삶이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가 지향하는 삶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열도에 사는 일본인들은 모든 면에서 놀라우리만큼 비슷한 삶을 영위하고 있다. 빈민촌과 타워팰리스가 한 동네에 공존하며, 3.3㎡(한 평)짜리 쪽방에서부터 330㎡(100평)가 훌쩍 넘는 고급 빌라에 이르기까지 온갖 종류의 집들이 다양하게 들어선 한국과 달리, 도시-농촌을 막론하고 주택들의 크기가 놀라울 정도로 비슷한 곳이 일본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월세로만 임대료를 주고받기에 집을 사겠다고 마음먹지 않는 이상, 거액의 은행 대출에 허덕이는 일도 어지간해선 일어나지 않는다.
◇자전거를 2층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좁은 공간을 활용한 어느 아파트 앞 모습. 자전거보다 자동차가 더 많은 한국에선 그저 신기하기만 한 풍경이 아닐 수 없다. |
더욱이 비싼 주차료를 지불해가며 자동차를 갖는다손 치더라도 시내에 몰고 나가보면 차 댈 공간이 전무(全無)하다. 한국처럼 주차시설을 완비한 백화점과 대형 마트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다는 말이다. 그렇다고, 전철역 인근의 유료 주차장을 이용하려면 못해도 시간당 1만원은 예상해야 하는지라, 시내에 살면서 자동차를 가지겠다고 마음먹는 것 자체가 “돈을 물쓰듯 도로 위에 뿌리겠다”는 생각과 진배없다. 그래서 일본인들의 하루는 자전거와 전철로 시작되고 자전거와 전철로 끝난다. 그러고 보니, 자전거와 전철이 일본에선 ‘자전車’와 ‘전車’로 불리는 것도 의미심장하다.
◇일본 부모들을 육아, 보육 걱정으로부터 해방해주는 ‘아동관’의 모습. 사진에 보이는 도서실 겸 공부방 건너편에는 약 40평에 달하는 넓은 놀이 공간이 마련돼 있다. |
모두들 20평 안팎 크기의 월세 집에 살며, ‘자전車’와 ‘전車’로 출퇴근하고, 육아 및 아동 의료비에 별다른 부담이 없다 보니, 생활 수준과 하루 일상이 비슷해지는 것은 당연지사. 더욱이, 생활보호 대상자는 물론, 노인 복지도 부러울 정도로 잘 돼 있어 외양만 자본주의이지, 알맹이는 공산주의 국가가 일본이다. 이러한 일본을 잘 표현한 슬로건이 다름 아닌 ‘1억 총중류.’ 1억 국민이 모두 중류층의 삶을 살 수 있도록 보장한다는 1970년대의 슬로건은 이후, 일본과 일본인의 자긍심을 미쁘게 드러내는 대명사가 됐다.
그런 면에서 볼 때, 1990년대 들어 ‘1억 총중류’의 신화를 무너뜨리며 국민을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승리자’와 ‘패배자’로 냉혹하게 갈라버린 고이즈미 전 총리(자민당)의 신자유주의 정책은 공산주의 일본을 자본주의 일본으로 일거에 바꿔버린 폭거(暴擧) 중의 폭거였다. 이에 대해, 일본 국민은 2009년 총선을 통해 55년 만의 정권 교체를 이룩함으로써 신자유주의 반란을 진압시켰고. 그런 의미에서, 일본은 여전히 공산 국가다.
심훈 한림대 교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