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환 경남과학기술대 교수·축산시설환경학 |
일부 동물복지단체에서는 제한된 공간에 많은 가축이 수용되는 집약적 사육시스템인 공장형 축산의 문제점을 꾸준히 지적해 오고 있다. 특히 양돈과 양계가 그 대표적 예이다. 극히 제한된 공간에서 일생의 대부분을 보내야 하는 어미 돼지의 삶과 닭의 강제털갈이는 분명 자연이치에 역행하는 것이며, 어미 돼지와 닭에게 감내하기 힘든 스트레스를 주는 것이라는 많은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동물복지라는 것은 가축도 살아 있는 생명체로서 누려야 할 기본적 권리를 제공받아야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비록 가축이 인간의 건강유지와 식생활 향상을 위해서 희생되고는 있지만, 살아 있는 동안에는 목마름과 배고픔으로부터 해방, 적절한 안락과 휴식 제공, 부상과 질병으로부터 해방, 이동의 자유와 정상적인 행위를 표현할 기회 보장, 공포로부터 해방 등 가축이 누려야 할 5가지 자유를 누리게 해주는 최소한의 도리를 지켜줘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구제역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나라도 유럽연합(EU)이나 일본의 예에서 보듯 축산에 대해 소비자가 갖는 불안이 결코 적지 않다는 사실을 알았을 것이다. 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우리 축산물을 믿고 찾을 수 있도록 축사환경을 깨끗하고 아름답게 유지하며 가축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일부에서는 이 기회에 환경친화적이고 동물복지형 축산을 위한 높은 수준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축산농가 스스로 현재의 사태를 거울삼아 환경관리에 관심을 갖고 축사를 재정비하며 동물복지형 사육방식을 도입하는 것과 함께 철저한 차단방역을 추진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소홀히 할 경우 또다시 이번과 같은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은 항상 열려 있다.
한편으로는 구제역이 발생하게 된 근본 원인을 찾아 규명하고 제2의 구제역 사태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축산이 경쟁력을 갖춘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 동물복지를 적용한 친환경 축산으로의 새판짜기에 지혜와 의지를 결집해야 할 것이다. 축산업이 그동안 농업·농촌의 발전에 기여해 왔듯이 이번 사태에 큰 교훈을 얻고 국민과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산업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본다.
김두환 경남과학기술대 교수·축산시설환경학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