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법회 한글학회 정회원·전 연수중 교장 |
버스도 자동 안내 장치가 잘 되어 있는데 여기에 쓰이는 말에도 어색한 것이 있다. ‘버스 도착 정보 안내 시스템’이란 말에서도 우리말답지 못한 냄새가 풍긴다. 이것은 ‘버스 도착 정보 알림(안내)’과 같은 쉬운 말로 쓰면 ‘시스템’이란 영어를 모르는 사람도 쉽게 알아 볼 것이다. 이 알림판에는 노선번호, 도착예정시간, 통과위치 등이 표시되는데 ‘현재 통과 위치’ 밑에는 ‘3개 전, 5개 전’ 따위로 안내하고 있다. 이것은 도착 전 남은 정류장의 수효를 나타낸 것인데, 이는 장소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3곳 전, 5곳 전’으로 써야 바른 표현이다. ‘개’는 물건의 수효를 나타낼 때 쓰는 단위이므로 여기에 어울리지 않는다.
여기서 ‘잠시 후 육십오다시일(65-1)번 버스가 도착합니다’라는 안내 방송도 나온다. ‘-(줄표)’를 대부분의 사람이 ‘다시’라고 읽는다. 주민등록번호, 통장 번호를 부를 때도 마찬가지다. 이 기호를 영어인 ‘dash’로 읽는 것이다. 영어 발음을 외래어 표기법에 맞게 쓰면 ‘대시’이지만 일본식 발음을 거치면서 ‘다시’라는 외래어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줄표)’를 말로 표현할 때는 ‘육십오 줄표 일’로 읽는 것보다 ‘의·에’로 읽으면 쉽게 통한다. 안내 방송은 ‘육십오의(에) 일 번 버스가 잠시 후 도착합니다’라고 하면 된다.
우리가 외래어나 외국어를 남용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이것이 우리 말글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세계 1등 문자인 한글과 한국어가 세계 공용어로 발돋움해가는 이때에 국어사전에 외래어가 폭증하는 것은 우리 말글의 순수성과 정체성을 잃는 중대한 일이다. 말은 곧 얼이며, 그 민족의 으뜸 문화다. 사회의 각 분야에서 온 국민이 우리말 지키기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다.
구법회 한글학회 정회원·전 연수중 교장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