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오염 방치땐 심각한 환경파괴 불러
11곳에 대한 체계적 기초조사 선행돼야” 심한 토양오염 의혹이 제기된 부산지역 폐차장들을 외곽으로 이전 통합관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학계 전문가들과 환경단체에서 잇따라 나오고 있다.
부산시는 4일 시내 폐차장 11곳에 대한 전면 실태조사에 들어가는 한편, 자치구·군 등 유관부서와 ‘폐차장 외곽이전 통합관리’에 대한 의견수렴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지역 학계와 환경단체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전무했던 부산시의 폐차장 관련 시책에 대해 한목소리로 문제를 제기했다.
![]() |
◇4일 부산 사하구 하단Sk뷰 아파트단지 뒤편에 위치한 B폐차장 하단영업소 비포장부지 5000여㎡에 폐차가 빼곡히 쌓여 있다. 부산=전상후 기자 |
신라대 하상안(환경공학과) 교수는 “대부분 20∼30년 된 부산지역 폐차장은 과거 환경 보존에 관심이 없던 시절 폐유를 버려 토양오염이 돼 있을 게 분명하고 일부는 현재도 진행 중일 것”이라며 “강우 시 자체 정화처리하는 시스템을 갖춘 곳은 한 곳도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하 교수는 이어 “이런 폐차장을 제대로 관리하려면 먼저 시내 11곳의 폐차장에 대한 체계적인 기초조사가 선행돼 TPH(석유계총탄화수소), BTX(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유류오염 측정지표를 근거로 분석한 뒤 정밀조사를 거쳐 토양을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의대 김정권(환경공학과) 교수는 “시내 곳곳에 흩어져 있는 폐차장을 한 곳으로 모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가는 게 옳다”며 “이런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일본처럼 재활용률을 높이고 최종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백해주 그린라이프 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폐차장을 한 곳으로 모아 중점관리하면 관리도 쉽고 2차 오염 예방도 가능해진다”며 “시와 구·군 조례를 개정해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우선 실태 파악을 한 뒤 내년에 예산을 편성, 기초조사를 한 뒤 문제 있는 업소에 대해선 정밀조사를 명령하겠다”며 “외곽 이전은 중장기 과제인 만큼 유관부서 간 긴밀히 협의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전상후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