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신약임상시험의 숨겨진진실]해외 임상시험 피해 사례

입력 : 2007-08-16 11:22:00 수정 : 2007-08-16 11:22:0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국내에서는 다국적 제약사의 임상시험이 증가하면서 최근에야 안전성과 윤리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지만 해외에선 이미 오래전부터 다국적 제약사의 신약 임상시험과 관련된 생명윤리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은 2차세계대전 중 유대인 포로들을 상대로 인체실험을 자행한 나치 의사들을 전범으로 처벌하면서 임상시험에 대한 국제적 생명윤리강령(뉘른베르크 강령)을 마련했다. 이후 제약사들의 신약 개발 과정에서 임상시험 피해나 윤리 위반이 발생할 때마다 이 기준을 한층 강화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다국적 제약사들은 1970년대부터 윤리 규제가 허술한 아프리카나 아시아 등지로 진출해 임상시험을 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비윤리적 행위가 속출했다. 실제로 세계 최대 다국적 제약사인 화이자는 1996년 나이지리아에서 검증되지 않은 임상시험 약을 어린이에게 투여했다가 나이지리아 정부에 의해 기소됐다. 화이자는 당시 나이지리아에서 뇌수막염이 유행하자 이 병을 앓던 영·유아 100명에게 시험약을 투여했다. 그 결과 약물이 투여된 100명 가운데 5명은 숨졌고, 나머지 어린이들도 상당수 관절염에 시달려야 했다.
영국 BBC는 2006년 시사다큐멘터리 ‘임상실험의 천국 인도’(원제 Drug Trials―The Dark Side)를 제작, 존스 앤드 존스 등 다국적 제약사의 이런 비윤리적 행태를 고발했다.
이 프로그램에서 인도 환자들은 자신이 임상시험 대상자라는 사실도 모른 채 심각한 부작용에 시달리고 있었다.
특히 대다수 환자들은 임상시험을 다국적 제약사가 베푸는 치료기회로 알고 있었지만 다국적 제약사들은 임상시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환자에게 알리지 않은 채 ‘세척기간’(투약·치료 중단기간)을 거치거나 실험 데이터 확보를 위해 일부 환자에게 위약을 투여했다.
이 밖에 벡스젠도 2002년 태국에서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백신 임상시험을 하면서 피험자들에게 소독 주사기나 콘돔 등을 제공하지 않았다.

특별기획취재팀=김동진
우한울·박은주·백소용 기자
specia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지 하디드 '완벽한 미모'
  • 지지 하디드 '완벽한 미모'
  • 웬디 '상큼 발랄'
  • 비비 '아름다운 미소'
  • 강나언 '청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