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입학사정관제 확제 '입시 실험' 학부모·교육단체 반응은

입력 : 2009-03-13 09:47:27 수정 : 2009-03-13 09:47:2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입시지옥 해소” 기대속 “시행초기 혼란” 우려도
납득할 만한 선발 기준부터 마련 서둘러야
일부선 “또 하나의 특별전형 변질 가능성”
수능 점수 위주의 기계적 선발에서 벗어나 학생의 학업성취 및 소질, 잠재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입학사정관제 확대에 대해 학부모·교육관련 단체 등은 대부분 찬성의 뜻을 보였다.

하지만 제도 시행 초반에 빚어질 혼란을 우려하는 목소리와 함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도적 보완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학부모와 학부모단체들은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선발기준 마련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서울 노원구에서 초등 6년생 아들을 키우는 권모(37)씨는 12일 “입학사정관제가 제대로 정착되면 아이들이 입시지옥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면서도 “다만 점수가 아닌 면접 등으로 선발하는 만큼 어떻게 당락이 결정되는지를 학생·학부모가 수긍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중3·초등 5년생 아들·딸을 둔 이모(45·양천구)씨는 “점수는 계량화된 기준이 있지만 면접 등이 우선이라는 입학사정관제는 합리적 기준이 공개되지 않으면 혼란만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최미숙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모임’ 상임대표는 “제도 취지엔 찬성하지만 의구심이 드는 게 사실”이라며 “대학은 사회적으로 납득할 만한 고유의 선발 기준부터 개발해 떨어진 학생과 학부모를 납득시킬 준비부터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학 입장에서도 좋은 학생을 가려내는 것이 스스로를 위해 좋은 일이므로 입학사정관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교원단체들 역시 양질의 입학사정관 확보 등을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당장 입학사정관에 의한 선발 비율을 대폭 늘리는 것이 성급하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김동석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대변인은 “미국 대학의 경우 보통 50∼100여명의 입학사정관이 있는데 우리는 지난해 시범실시를 한 대학을 보니 입학사정관 수가 대학당 3∼6명에 불과했다”며 “이렇게 소수의 사정관이 학생의 적성, 소질, 특기, 봉사성, 리더십 등 전형자료를 세밀히 조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입학사정관제의 취지가 직접 찾아가서 인재를 발굴하겠다는 것이기 때문에 우선은 양질의 사정관을 다수 확보하는 것이 선결 조건”이라면서 “또 이들이 전문성과 사명감을 가질 수 있도록 제도적 방안 마련도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엄민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변인은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입학사정관 면접을 준비하는 학원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등 또 하나의 ‘특별전형’으로 변질될 가능성도 있다”며 “특히 대학들이 당장 내년부터 20, 30%까지 입학사정관에 의한 학생 선발 비율을 갑자기 늘리는 것은 매우 성급한 조치”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대학들이 선발 비율을 늘리기에 앞서 양질의 입학사정관을 대폭 확보하고 그들을 제대로 교육하는 등 제도 정착을 위한 제반 여건부터 마련하는 것이 옳다”고 강조했다.

나기천 기자 n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혜수 '눈부신 미모'
  • 김혜수 '눈부신 미모'
  • 유인영 '섹시하게'
  • 박보영 '인간 비타민'
  • 박지현 ‘깜찍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