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지도부 교체를 위한 전당대회는 오는 7월로 예정돼 있지만 새해 예산안 처리에 대한 평가, 세종시 수정 논란, 6.2 지방선거 등의 변수는 그 일정을 뒤흔들 수 있다.
오는 2∼3월 전대 개최론이 그것으로, 여야 모두 `지방선거 필승 카드'로 조기 전대 목소리가 잠재해 있다.
또한 전당대회가 2012년 총선.대선 판도로 이어질 각 당의 역학구도와 직결돼 있다는 점에서 새해 벽두부터 여야는 조기 전대론을 둘러싸고 거친 파열음을 낼 가능성도 있다.
◇한나라당 = 준예산 편성위기의 고비를 넘긴 만큼 `정몽준 체제'는 외견상 안정국면에 접어들었다. 그동안 조기 전대론의 근거로 꼽힌 현 지도부의 리더십 문제가 어느 정도 봉합된 모양새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지지도와 한나라당 지지율이 지난해 말부터 상승 안정국면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조기 전대를 통한 `여권 쇄신'의 환경도 아직까지는 미숙한 상황이다.
하지만 `민본21'을 비롯해 당내 소장그룹이 조만간 조기 전대론을 거듭 요구할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후반기 국정운영의 앞날을 가를 지방선거의 필승을 위해 지도부 일신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예산정국을 성공적으로 이끌긴 했지만 정몽준 대표의 리더십, 공성진 최고위원에 대한 수사 등으로 인해 현 지도부로는 지방선거에 대응하기 위한 총력체제를 갖추기 힘들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소장그룹에 추가 동력이 붙느냐에 따라 2∼3월 조기 전대의 향배가 정해질 전망이다. 친박(친박근혜)계 또는 이재오 위원장측의 `동조'가 이어지면 조기 전대론은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있다.
세종시 문제를 놓고 박근혜 전 대표를 향한 친이(친이명박)계의 공격이 예상되는 만큼 당권을 놓고 조기 승부수를 던져야 한다는 친박내 목소리도 흘러나오고 있다.
하지만 박 전 대표가 지방선거 결과에 책임을 지는 상황을 자초할 필요는 없다는 반대의 목소리 또한 만만치 않다.
유력 당권 주자이자 친이(친이명박)계 핵심인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의 경우 공직에 발이 묶여 사실상 참여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조기 전대론에 적극적이기는 힘들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와 함께 일각에서는 정몽준 대표가 지명직 당 대표로서의 한계를 의식, 본인 스스로 `선출직 대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승부수를 던지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정 대표가 최근 사석에서 "나도 전대에서 정식으로 선출된 대표를 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고 말한 점은 리더십 논란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 = 미디어법에 이어 예산안 저지에 실패, 연패의 늪에 빠진 민주당으로서는 한나라당에 비해 지도부 책임론에 직면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할 수 있다.
노동관계법과 관련한 추미애 의원의 독자행동까지 덧붙여져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 지도부를 쇄신해야 한다"는 당내 비주류의 목소리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당내 비주류 초재선 의원 모임인 `국민모임'이 14일께 `민주당 이대로 좋은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어서 이때를 전후해 조기 전대론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주류측은 조기 전대에 부정적 입장을 고수, 당내 주류와 비주류측의 갈등이 표면화할 수도 있다.
주류측에서는 여권의 강공으로 4대강 예산을 저지하는 게 사실상 쉽지 않았고, 실패로 끝난 원내전략의 직접적 책임은 정세균 대표에게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여권의 세종시 움직임에 강력 대처하기 위해서는 조기 전대를 통한 힘의 분산을 막아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이와 함께 무소속 정동영 의원의 복당 문제, 한나라당에서 진행될 조기 전대론 등도 민주당내 조기 전대 논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