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중학교의 2010년 학교폭력자치위원회 심의건수는 평균 5.42건으로 전국 16개 시·도교육청 중 가장 높았다. 폭력에 노출된 빈도가 그만큼 잦다는 의미다. 고등학교는 6번째였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형권 대구지부장은 4일 대구 지역의 유별난 학구열을 문제 삼았다. 그는 “대구는 다른 지역에서는 서서히 없어지고 있는 강제 야간자율학습이 중학교부터 대부분 운영되는 등 학구열이 유별나다”며 “학업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학교폭력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구에서 활동하는 홍대우 한국전문상담교사회장은 ‘전문상담교사 부족’을 이유로 들었다. 홍 교사는 “대구지역에는 학교가 400개에 달하지만 전문상담 교사는 중학교에만 30명 배치됐을 뿐”이라며 “담임교사나 전문성이 부족한 일반상담사들은 학교폭력 피해 학생의 징후를 정확히 읽어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대구시교원단체총연합회 서상희 사무총장은 “청소년 자살에 대한 자극적인 보도행태가 문제”라며 “가까운 지역 동급생의 자살 소식을 들으면 마음 약한 학생들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고 ‘베르테르 효과(모방자살)’를 우려했다.
대구교육청 관계자는 “학생들의 희생을 막기 위해 지난해부터 대책을 세우고 밤낮없이 노력했는데 대구에서 계속 이런 일이 생겨 당혹스럽다”며 “뚜렷한 이유를 알 수 없으니 우리도 답답할 뿐”이라고 말했다.
한국청소년지원협의회는 이날 성명에서 “정부가 학교폭력 대책에 수천억원의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대구에서 같은 일이 다시 벌어졌다”며 “대구교육감과 정부는 변명만 하지 말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으라”고 비판했다.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