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현충일이 무슨날?" 초등생 "일제 해방 한 날"

입력 : 2012-06-06 14:54:45 수정 : 2012-06-06 14:54:4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대한민국 초등학생들의 ‘안보문맹’이 심각하다. 취재팀이 설문에서 “6·25 전쟁이 누구와 싸운 것이냐”고 묻자 학생들은 쩔쩔맸다. ‘일본과 싸웠다’는 어처구니없는 답변도 많았다. 초등학생들의 무지한 안보관, 국가관은 역사교육 홀대가 낳은 당연한 결과라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우리 역사를 ‘세계사 속 역사’의 일부로 가르치는 현행 교육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허술한 안보의식 늪에 빠진 초등학생

5일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본 초등학생들의 현충일과 6·25전쟁에 대한 이해 수준은 사뭇 충격적이다. 현충일을 모르는 학생도 많았고, 잘못 알고 있는 학생도 수두룩했다. 일부는 “일제 식민지배에서 벗어난 날”이라고 대답했다. 6·25전쟁 발발 연도 역시 1934년, 1943년, 1970년 등 제각각으로 알고 있었다. 3·1운동이 벌어진 1919년이라고 답한 학생도 있었다. 한 학생은 “현충일은 모 가수의 컴백 날”이라고 엉뚱한 답을 내놨다. 일부 학생들의 국가관은 믿기 힘들 정도다. 최근 언론을 통해 보도된 국군 전사자 유해 봉환에 대한 소감을 묻자 “짜증난다”고 답한 학생도 있었다.

한 초등학교 교사는 “일부 정치인들이 6·25전쟁과 관련해 이상한 주장을 하는 바람에 학생들이 매우 혼란스러워하고 있다”면서 “정규 국사 교육 외에 추가적인 안보교육이 절실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을 방문한 어린이들이 2002년 6월 제2연평해전 당시 북한 함정의 기습공격으로 침몰한 ‘참수리-357호’의 모형을 살펴보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안보문맹’ 만드는 교육

이번 조사 결과는 국사교육 부재가 낳은 필연적 결과라는 분석이 많다. 현행 교육 제도는 국사를 세계사의 일부로 편성해 초등학교 5학년을 상대로만 가르친다. 역사 교육을 통해 안보관을 기를 기회 자체가 원천봉쇄된 셈이다. 교육 내용도 문제투성이다. 지난해 국가보훈처가 초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현행 교과서는 학생들이 안보관을 제대로 키울 수 없도록 짜여 있다. 일부 초등학교 교과서는 태극기와 국기에 대한 맹세를 싣지 않고, 6·25전쟁 참전용사들에 대해서는 단지 “죽거나 다쳤다”는 식으로 무미건조하게 기술하고 있다.

또 연평해전과 천안함 폭침 사태, 핵실험 등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대해서는 아예 설명이 없거나 간단한 언급에 그쳤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현행 교과서는 북한 인권 문제를 외면하고 있고, 북한 주민들의 생활상을 한국의 제주도나 울릉도에 사는 사람처럼 미화하는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일선 현장에서도 비슷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일부 교사들은 지난 10여 년 사이 교과서에서 6·25전쟁 서술이 완곡해지고 분량이 축소됐다고 주장했다. 서술방식 역시 사건과 인물 위주로 돼 있다 보니 초등학생들이 전체적인 역사 흐름을 모르고 넘어가기 일쑤다. 예를 들어, 일제의 침략을 설명하다가도 돌연 초등학교의 명칭 변화, 개화기 의식주의 변천 등을 설명하는 식이다. 한 초등학교 교사는 “호국보훈의 달에 맞춰 하던 교내 백일장이나 웅변대회도 이제는 대부분 자취를 감췄다”면서 “정부가 아이들이 6·25전쟁도 모르도록 일부러 그러는 것 같다는 생각마저 든다”고 토로했다.

◆눈높이 맞춘 국사교육 절실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국사교육을 통해 안보의식을 강화하자고 지적한다. 전국초등사회교과모임 공동대표인 배성호 교사(서울 수송초)는 “영국 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할아버지가 2차 세계대전 시절 이야기를 들려주는 식의 서술기법을 도입한 역사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다”면서 “우리도 설명조의 교과서 서술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입 제도의 정비도 따라야 한다고 지적한다. 국사가 대학 입시에서 필수과목이 아니다 보니 고등학교에서 무게를 두고 배우지 않고, 자연스럽게 초중등 교과목에서도 홀대받고 있다는 것. 권혜진 흥사단 교육운동본부 사무처장은 “국사가 대입에서 소홀히 다뤄지면서 초중등 교육에서도 등한시되고 있다”면서 “대학이 국사 성적을 적극 활용하면 초등학생들의 국사교육도 덩달아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준·오현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