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한국대사관 김기홍 참사관은 23일 아침 일찍부터 외무성 북동아시아과 등에 전화를 걸어 노다 총리의 서류 반송을 위한 면담을 잡으려 했지만 일본 측은 약속 잡기를 거부했다. 이미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외무상은 “(서류 반송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송 거부를 예고했다.
오후 3시40분. 김 참사관은 할 수 없이 공식 통역사 1명을 대동하고 대사관 차를 타고 외무성 앞에 도착했다. 손에는 노다 총리의 서한을 담은 검은색 서류가방이 들려 있었다. 외무성 정문 밖에선 일본 우익인사들이 차량을 이용해 “위안부가 아니라 매춘부”라고 외치고 있었다. 김 참사관이 외교관 신분증을 제시하며 외무성 안으로 들어가려 하자 경비원들은 그를 제지한 뒤 휴대전화로 어디론가 통화를 시도했다. 잠시 후 “사전약속 없이는 못 들어간다”고 전했다.
김 참사관이 이에 정문으로 들어가려 했지만 경비원들은 서둘러 철문을 닫고 진입을 봉쇄했다. 그는 타고 온 차량에 돌아가 외무성 관계자와 다시 통화를 시도했지만 일본 외무성은 태도를 바꾸지 않았다. 외무성 주위에 머물러 있던 김 참사관이 정문 통과를 재시도한 시각은 오후 4시30분. 외무성 경비원들은 그가 접근하자 다시 문을 닫아버렸다. 이때 한국과 일본 취재진이 외무성 정문 밖으로 달려왔고 김 참사관은 문전박대 1시간 만인 오후 4시40분쯤 발길을 돌려야 했다. 결국 한국 정부는 이날 오후 5시30분에서 오후 6시 사이 등기우편을 통해 서류를 반송해야 했다. 노다 총리의 서한은 이르면 24일 오전 일본 외무성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
수교국 간에 문서의 반송을 거부한 것은 극히 드문 일이며, 외교서한을 우편으로 보낸 것 역시 외교관례상 흔치 않은 일이다. 독도 갈등으로 뒤틀리고 꼬인 한·일관계의 슬픈 자화상이었다.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일본이 정상적인 외교문서 수발 경로까지 차단한 것은 외교관례를 떠난 조치로, 대단히 유감스럽다”며 “수신을 원치 않았으면 원 발신자가 회수하는 게 외교관례를 떠나 상식”이라고 비판했다.
도쿄=김용출 특파원 kimgij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