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과학연구원의 현택환 나노입자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중견석좌교수·사진)은 23일 연구단 소속 오명환 박사와 함께 금속에만 적용되던 갈바닉(Galvanic) 부식원리를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에도 적용해 리튬이온 전지의 음극용량을 최대 3배까지 높였다고 밝혔다.
갈바닉 부식은 금속이 부식되는 작용기전 중 하나로, 금속 나노재료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쉽고 간단한 방법이다. 이를 이용하면 여러 금속이 섞여 있으면서도 속이 텅 빈 독특한 구조의 나노입자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촉매활성이 뛰어나 약물 전달체에 적합하다는 것이 현 단장의 설명이다.
그는 “실험 결과 금속의 갈바닉 부식원리를 반대로 적용해 산화망간 나노입자와 철 과염소산염 수용액과의 반응을 통해 산화철·산화망간 이종접합구조인 나노박스(nanobox)가 생성됨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철 과염소산염의 농도를 높이면 속이 텅 빈 산화철 나노케이지(nanocage)로 변환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현 단장은 “이번 연구는 최초로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의 갈바닉 부식을 증명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황계식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