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8·5 개편은 박 대통령의 파격인사로 받아들여진다. 한번 인물을 중용하면 끝까지 간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박 대통령은 믿고 맡기는 스타일이다. 최근에도 ‘무능’을 이유로 현오석 경제부총리를 경질하라는 야당의 요구를 일축한 바 있다.
청와대 이정현 홍보수석이 5일 춘추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청와대 인사개편안을 발표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앞서 ‘밀봉인사’ 등의 논란으로 여론의 비판을 받았던 청와대 윤창중 전 대변인을 경질한 것도 성추행 의혹 사건이 터진 뒤의 일이었다.
박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 변화는 하반기 국정운영을 다잡기 위해 더 이상 ‘신뢰’만을 고집할 수 없는 위기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국정운영과 관련해 비서진은 물론 내각에서도 문제점이 발견되면 언제든지 변화를 가져오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도 받아들여진다. 참모진 쇄신을 통해 “안주하는 사람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공직사회에 던져 기강 확립과 정책 추진의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계산이 읽힌다.
또 북한의 도발위협과 일본의 극우화 등 대외 환경이 만만찮은 가운데 경기 침체와 더불어 국가정보원 국정조사 등 국내 상황도 갈수록 꼬여 국정운영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점이 감안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측근 위주 인사는 그대로 재연됐다는 지적이다. 박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오랫동안 일한 인물이나 인수위 등을 통해 인연을 맺은 인사를 재활용하는 것이다.
측근 기용은 박 대통령의 뜻을 일방적으로 알리기만 하고 비판적 여론이나 쓴소리를 전하는 역할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이번 청와대 참모진 개편으로 후속 인사 여부가 주목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공기업 인사도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공공기관장 인선 검증을 담당하는 민정수석이 임명됨에 따라 조만간 관련 인사가 차례로 이뤄질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당분간 개각은 없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정현 홍보수석은 “장관 교체는 없다”고 단언했다.
남상훈 기자 nsh2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