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품 활용에 찬성하는 쪽은 유물의 보존에 무게를 둔다. 문화재청은 “반가사유상이 국외 박물관을 순회하면서 많은 물질적 피로를 가지게 되어 절대적인 안정된 상태로 보호해야 한다. 장기간 다량의 문화재를 반출하는 데 대한 자제 권고, 전문가들의 우려 등을 고려했다”며 복제품 제도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외국에서도 복제품을 적극 활용한다는 주장도 한다.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 황평우 소장은 “복제품은 모든 전문가, 장인의 합의 아래 만들어지는 것”이라며 “미리 만들어 두면 나중에는 21세기의 문화재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반대 측은 외국에서 복제품을 활용한 사례가 없고, 전통문화를 제대로 알리려면 진품 활용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문화재청 내부에서도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에서 복제품을 활용한 전시회를 볼 외국 관람객이 얼마나 되겠냐”는 문제 제기가 있다. 무엇보다 전시회의 격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국립중앙박물관 한수 학예연구관은 “한두 점이라도 복제품이 섞이면 전체 전시회의 품격이 떨어진다. 잘 만든다고 해도 진품과 복제품의 차이는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다른 전문가는 “외국 관람객이 우리 유물을 보고 감동을 받게 하기 위해서는 진품을 사용해야 한다. 유물에 깃든 오랜 세월의 아우라를 복제품이 표현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강구열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