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에 들어서면서 생활에 질서와 의미를 부여하는 가치체계로서의 문화 개념과 아름다움의 실천을 추구하는 기술로서의 예술이 하나로 결합했다. 사회의 생산력과 소비의 품격을 동시에 높이는 삶의 틀로서의 문화가 필요해진 이유가 그것이다. 인문정신과 가치의 진흥을 강조한 것은 인문가치가 예술의 ‘내용’을 채워주고, 또 예술은 정신문화를 아름다운 ‘형식’으로 실천케 하는 선순환적 상호작용을 위한 것이다. 여기에 표현과 구성의 수단으로서 과학기술이 매개할 때 새로운 의미와 감동과 아름다움을 창출할 수 있다.
김광억 서울대 명예교수·인류학 |
문화융성의 핵심적 자산으로서 강조된 인문가치와 정신문화는 우리 전통문화의 재인식은 물론 통일과 다민족사회에 대한 관심으로까지 연결되면 좋겠다. 평화와 화해, 그리고 배려의 철학이 깔린 미래지향적 문화를 개발해야 한다. 또 문화의 일상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의식주 생활 부문과 거리와 동네가 모두 문화 실천의 공간이다. 예술작품, 체육시설, 박물관·도서관 건물이 공원·녹지와 어울려 있어야 한다. 공기·물·바람·냄새·색깔·소리·공간·장소·풍경 등 모든 것이 하나의 체계를 이뤄 독특한 감정과 미적 흥취와 의미를 주는 문화경관을 형성하고, 언어와 행동이 품격을 갖출 때 누구나 품위 있고 아름답게 삶을 누리게 될 것이다.
금년도 문체부 업무보고는 새로운 차원의 문화국가를 추구하는 것으로 높은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이제 남은 건 과연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의 문제다. 중요한 것은 문화산업의 다양한 분과와 영역이 서로 유기적 관계를 이뤄야 한다는 점이다. 문화융성의 기획도 문체부 외에 모든 관계 부처의 협력이 있어야 실현이 가능하다. 문화융성위원회가 지속성을 갖고 범정부적·통합적 기능을 강화할 때 ‘문화대국’으로 가는 길이 열릴 것이다.
김광억 서울대 명예교수·인류학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