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작물 재해보험은 농가의 경영안정을 돕기 위해 정부가 2001년 도입한 정책성 보험이다. 농가부담 경감을 위해 보험료의 50%를 국가에서 지원하고, 나머지 25%를 지자체에서 내준다. 농가 입장에서는 보험료가 실제 내야 할 금액의 25% 수준이다.
“적자를 탈출했다”고 기뻐하는 보험사와 달리 농식품부의 시름이 깊어진 것도 같은 맥락이다. 농작물 재해보험의 가입률은 전년도 농가 피해, 보상금에 직결되기 때문이다. 전년도의 피해 폭이 크지 않았던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농가가입률 상승폭은 1.1%포인트에 불과했다. 특히 보험금지급 농가 수가 2010년 1만4343호에서 2011년 1만9611호로 소폭 상승하자 2012년 가입률은 0.1%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반면 2012년 농가 피해 급증으로 보험금을 받은 농가수가 4만6337호로 급증하자 이듬해인 2013년에는 가입률이 19.1%로 껑충 뛰었다. 2012년엔 덴빈·볼라벤·산바로 이어지는 태풍이 연이어 들이닥치면서 농가들이 큰 피해를 봤기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이런 점에서 2014년 가입률이 또다시 뚝 떨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2013년 보험금을 수령한 농가수는 8600호에 그쳤고 보험금 지급액도 450억8800만원으로 전년(4909억7800만원)의 10%에 불과했다. 총 43개 보험 품목 중 사과, 배, 감, 감귤 등 5개 과수품목에 대한 가입이 현재 마감된 상태다. 과수품종은 태풍 영향을 많이 받아 상대적으로 높은 가입률을 자랑했지만, 마감 결과 전년에 비해 1%포인트 이상 가입률이 떨어진 것으로 나왔다.
4월7일부터 5월 말까지는 벼, 양파, 부추, 고추 등 총 18개 농작물에 대한 보험 가입이 시작된다. 이 중 전년도 보험금 지급에 따라 변동이 유난히 큰 품목은 벼.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을 독려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홍보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전한영 농식품부 재해보험팀장은 “지난해 보험금 지급액과 지급 농가 수가 줄어들어 올해에 또다시 가입률이 뚝 떨어지며 농가의 피해가 반복될까 우려된다”며 “예측할 수 없는 이상고온과 기상 이변에 대비하기 위해 농가의 보험 가입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