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방부 "해경, 해군 잠수요원 투입 막은게 아니다"

관련이슈 여객선 '세월호' 침몰 사고

입력 : 2014-05-01 13:37:39 수정 : 2014-05-01 14:15:1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해경이 민간업체(언딘)를 위해 해군 투입을 막았다’는 의혹에 대해 국방부가 해명에 나섰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1일 “진성준 의원에게 전달된 자료는 해석에 따라 오해할 수 있는 내용”이라며 “자료가 정확하게 작성되지 못했다는 것에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달 16일 세월호 사고 발생 직후부터 민관군 잠수사들의 잠수 할당 순서는 재난구조 책임기관인 해경의 판단과 결정에 따라서 이뤄졌다”며 “해경은 잠수효율성을 위해서 잠수사들의 경험, 체력, 조류세기 등 현장상황을 고려해 결정하고 있다. 일부 민간 잠수사를 위해 해군 잠수요원들의 잠수를 막은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김 대변인은 “조류가 세면 매일 훈련하는 해군 요원들이 들어가는 게 좋고 정조 때는 경험이 많은 민간이나 해경이 잠수하는 게 낫다”며 “비상상황에서 현장은 권한을 가진 기관이 결정하고 지시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첫날 현장에 도착한 해군 SSU 2명이 오후 6시부터 잠수해 생명줄 1개를 설치하고 빠졌다. 이후 현장에 대기 중이었던 해경 잠수요원들이 투입됐다”며 “해경이 해군잠수요원들의 작업을 막았다는 것은 결코 맞지 않는 이야기다. 이때 민간 잠수요원은 투입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17일에 해군 잠수사가 투입되지 않은 이유는 오전 7시10분에 현장에 가보니 해경이 이미 잠수를 하고 있었다”며 “해경이 머구리 장비를 가진 민간 잠수사를 투입해야 하니 해군에게 현장에서 잠시 떨어져 있어달라고 요청했다. 해군 보트 스크루가 머구리의 산소공급 호스를 절단할 가능성이 있어 요청한 것이다”고 말했다.

사고 직후 군의 초동대처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군이 처음 상황을 인지한 것은 16일 당일 오전 9시3분으로 전남 119 상황실로부터 지원요청을 받았다”며 “3함대는 한문식함 등 소속함정을 9시9분께 출동시켰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해군 작전사령부도 3함대로부터 보고를 받아 구두지시를 통해 해난구조대 등에 출동 명령을 내렸다”며 “우리 군은 상황을 인지하고 해군함정과 잠수요원은 물론 육해공의 가용한 전력을 지체 없이 최대한 시간 내에 현장에 투입했다”고 강조했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수지 '우아한 매력'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
  • 하이키 휘서 '미소 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