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희 서울사이버대 교수·부동산학 |
그러나 지속적인 규제 완화가 또다시 부동산투기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가진 자들의 호주머니를 불리고 전세가격을 상승시켜 또 서민 생활만 어렵게 만드는 것이 아닌가 하는 걱정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계부채와 하우스푸어 문제 등을 감안하면 주택시장의 불안전성을 그대로 두고 재정안정이나 서민 생활안정을 기하기에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문제는 지금부터이다. 주택시장의 회복을 유도하기만 해서는 제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왜곡된 시장구조를 정상화시켜 나가야 한다. 즉 하우스푸어의 주택을 자금이 여유있는 일반 임대사업자들이 구입하도록 시장을 유도해야한다. 이제 부동산투기 시대는 지났다, 과거 부동산대박의 시대는 성장률이 안정되고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더 이상 기대하기는 어렵다. 만일 주택부채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라면 속히 주택을 처분해야한다. 그리고 부채로 처분할 주택을 단기부동자금 700조원의 자금시장이 수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정부는 임대업자들이 안정적으로 임대사업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 다시 임대주택선진화 방안 같은 반시장적인 정책이 나와서는 곤란하다. 금리는 낮고 주식시장은 불안정성이 항상 존재한다. 소득 흐름과 자원 배분이 정상화돼야 한다. 경제주체는 합리적 선택을 한다. 기회비용이 동일해지도록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 선택이다. 그 합리성을 유도하고 담보하는 것은 정부의 정책이고, 소비자의 현명하고 합리적인 판단이다. 주택시장의 정상화, 경제의 안정적 성장, 그것은 정부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그리고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이 같이 공유될 때 가능하다.
김용희 서울사이버대 교수·부동산학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