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지표는 저물가… 서민은 고물가에 허덕

입력 : 2014-11-10 20:29:52 수정 : 2014-11-10 23:14:2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통계·체감물가 괴리 심화 1%대의 낮은 물가상승 흐름이 만 2년째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설정한 중기(2013∼2015년) 물가안정 목표 2.5∼3.5%의 하단을 훨씬 못 미치는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저물가’(낮은 물가상승률) 기조는 디플레이션(경기 후퇴) 우려로 이어져 경제주체들의 심리를 위축시키는 상황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서민들의 체감물가는 ‘저물가’와 거리가 멀다. 오히려 이들이 피부로 느끼는 물가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통계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가 점점 더 커지는 형국이다. 이유는 주거비, 수도·전기·가스 요금과 같이 서민생활에 민감한 품목의 가격 변동에서 찾을 수 있다. 전체 소비자물가는 전년동기 대비로 1%대가 이어지고 있지만 이들 품목의 상승률은 전체 물가 상승률을 압도한다.

10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수도·주거관련 서비스 요금은 전년동기 대비로 2012년 4.9%, 2013년 5.3%, 지난 10월 3.3% 올랐다. 전기·가스·기타연료 요금도 같은 기간 5.2%→4.4%→2.9%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흐름(2.2% →1.3%→1.3%)에 비해 고공행진했다.

부담의 크기로 볼 때 특히 주거비 상승세는 체감물가를 끌어올리는 ‘주범’으로 지목된다. 2012년, 2013년, 2014년 10월 주택임차료는 4.2%→2.7%→2.4%의 상승 흐름을 보였다. 임차형식별로는 전세가 같은 기간 5.0%→3.2%→3.0%, 월세는 2.8%→1.6%→1.0%의 흐름이었다. 상승폭은 줄어들고 있다지만 급상승한 데서 지속적으로 더 오르는 기저효과(base effect)를 감안하면 무주택 서민의 주거비 부담은 꾸준히 또한 빠르게 치솟고 있다. ‘저물가’와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 먼 상황이다.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산출에서 주택임차료 비중은 가중치 1000중 93, 즉 9.3% 정도로 작지 않다. 품목별로는 전세가 6.2%로 비중이 가장 크다. 그런데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낮은 것은 농산물 가격 안정세와 유가 하락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김대유 통계청 물가동향과 사무관은 “유가 하락의 영향이 가장 크다. 관련 상품과 공산품까지 가격을 끌어내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서민들의 체감물가는 상당기간 고공행진을 지속할 전망이다. 저금리 기조에서 서민의 주거비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크다.

전셋값이 치솟는 현상은 정부의 저금리·부동산금융 완화 정책의 산물이다. “빚내서 집 사라”는 정책으로 집값이 들썩거리고 저금리에 집주인들은 집값 대비 전세가율을 올리거나 월세로 돌리다 보니 전셋값이 치솟고 있는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소비자물가에 주택임차료 변동은 매월 반영되지만 가계별로는 2년 주기로 재계약할 때 그 변동을 느끼는 것인 만큼 일상 통계와 차이가 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주택 가격 변동은 물가지수 산출에서 제외되는데, 이 역시 통계와 체감 사이의 격차로 나타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류순열 선임기자 ryoos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손예진 '순백의 여신'
  • 손예진 '순백의 여신'
  • 이채연 '깜찍하게'
  • 나띠 ‘청순&섹시’
  • 김하늘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