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점점 커지는 '정윤회 블랙홀'… 朴대통령 인적쇄신으로 돌파?

관련이슈 [특종!] 정윤회 국정 농단 의혹

입력 : 2014-12-04 19:46:17 수정 : 2014-12-04 22:21:04

인쇄 메일 url 공유 - +

파문 확산에 국정동력 상실 우려
공무원연금·경제활성화 좌초 위기
박근혜 대통령은 4일 공식 일정을 잡지 않은 채 ‘정윤회 감찰문건’ 파문 수습에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권 내부의 권력투쟁 의혹으로 번지는 등 문건 파문이 확산하면서 국정 동력이 ‘정윤회 블랙홀’에 빠져 상실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박 대통령이 적극 추진해왔던 공무원연금 개혁과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좌초될 위기에 봉착했다는 지적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검찰 수사 상황과 정치권 움직임 등을 지켜보면서 후속 대응책 마련에 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이 이날 문건 유출자로 지목된 박관천 경정과 청와대 행정관을 조사하는 등 문건 관련 수사가 본격화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번 문건 파문을 계기로 청와대의 내부 갈등과 그에 따른 공직기강 시스템 붕괴가 적나라하게 드러남에 따라 박 대통령은 청와대 인적쇄신 방안 등을 모색하고 있다. 집권 3년차를 앞둔 시점에서 청와대 참모진과 내각을 일신해 정국을 돌파해야 한다는 것이다.

청와대 인적쇄신의 관심은 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부담을 주고 있는 김기춘 비서실장과 이른바 ‘문고리 3인방’의 교체 여부다. 여권에서는 최소 ‘김 실장+알파(α)’가 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번 문건 파동을 보고받고도 묵살한 김 실장 책임론이 확산하고 있다. 김 실장은 지난 1월 초 당시 공직기강비서관실 행정관이던 박 경정이 작성한 문건을 토대로 조응천 전 공직기강비서관으로부터 관련 내용을 보고받았으나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새누리당 한 의원은 “(김 실장이) 내 선에서 묵살하고 문건 작성자들을 그만두게 한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김 실장은 문건 내용과 유출 경위를 파악하고도 후속 조치에 수수방관해 사태를 악화시킨 책임이 있다”며 “염치가 있으면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 대통령에 대한 도리”라고 주장했다.

문고리 3인방 중 인사개입 의혹을 받고 있는 안봉근 제2부속 비서관이나 정윤회씨와 연락을 주고받았던 이재만 총무비서관도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여권의 다른 관계자는 “검찰 수사 결과가 정씨와 3인방이 국정에 개입했다는 것으로 나오지 않는 이상 국민들은 검찰을 믿지 않을 것”이라며 “3인방 모두는 아니더라도 최소 1명 정도는 김 실장과 함께 물러나야 국민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이날 일정을 비운 것은 11, 12일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경욱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박 대통령이 회의에 참석한 10개국 정상과 시간 단위로 회담을 하는 만큼 최근 행사를 줄여가며 공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박 대통령 동생 박지만 EG 회장은 “누나가 청와대 있는 동안 발걸음을 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말을 주변에 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최근 ‘지만씨를 가끔 불러 챙겨주시라’는 건의를 받고 “내가 안 부르는 게 아니라 지만이가 부담주기 싫다고 안 오겠다고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고 여권 관계자가 전했다.

남상훈 기자 nsh2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신민아 '순백의 여신'
  • 신민아 '순백의 여신'
  • 차주영 '시크한 매력'
  • 수지 '청순 대명사'
  • 에스파 윈터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