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수석 나서 靑 책임 회피 급급 “몇 사람이 개인적으로 사심 갖고 있을 수 없는 일을 한 것이 밝혀졌다.”
청와대 윤두현 홍보수석이 6일 오전 9시40분 청와대 춘추관을 찾아 전날 검찰의 ‘정윤회 국정개입 의혹’ 문건 수사 결과에 대해 내놓은 반응이다. 청와대는 전날 수사 결과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윤 수석은 “늦었지만 다행으로 보고, (문건) 보도 전에 사람들이 한번의 사실 확인 과정이 있었으면 이런 일이 없었을 텐데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는 이런 일이 없어야 할 것이고, 경제도약을 위해서 매진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 |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오전 청와대에서 정부세종청사와의 원격 영상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김기춘 비서실장(왼쪽),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함께 영상국무회의실에 입장하고 있다. 허정호 기자 |
여권에서는 문건과 관련된 청와대 인사들이 자신의 책임론이 불거질까봐 우려해 문건 유출을 덮은 것이 이번 파문의 화근이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기춘 비서실장은 지난해 1월 자신의 교체설이 나돌자 당시 이정현 홍보수석을 통해 배후설까지 제기했으나 그 사실을 그대로 덮었다. 인사개입 의혹과 문건 보고 묵살 의혹을 받고 있는 ‘문고리 권력’ 3인방(이재만 총무·정호성 1부속·안봉근 2부속 비서관)도 문건 유출 경위에 대해 외면한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 수사 결과가 나오자마자 ‘몇 사람의 사심’으로 이번 파문을 규정한 것도 책임론에서 피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조 전 비서관이 박지만 회장에게 문건을 보고하기 전에 김 실장과 홍경식 민정수석한테 보고했다는 본지 보도와 관련, “조 전 비서관이 무죄를 주장하는 논리”라면서 “재판 과정에서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하지만 조 전 비서관이 문건을 상부에 보고했다는 것은 검찰의 공소장에 나오는 내용이다. 청와대가 검찰 공소장에 나오는 내용까지 부인하는 것은 불똥이 그 윗선으로 번질 가능성을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이번 사건을 조 전 비서관과 박 경정의 ‘자작극’으로 몰아간 검찰 수사 결과와 같은 맥락이다.
남상훈 기자 nsh2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