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내 옛 친이(친이명박)계 좌장인 이재오 의원은 비선실세 문건 의혹과 관련해 특검 도입까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친박계는 인적 쇄신보다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공직사회 기강을 강조했다.
이재오 의원은 7일 열린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찌라시 수준의 문건이 청와대에서 유출됐고, 연말에 정국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며서 "그러면 그 부분에 대한 최소한 도의적 책임을 지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와대가 인사조치를 과감하게 취해야 하고, 그것이 청와대가 국민을 신뢰하는 자세다. 그런 조치가 금명간 있어야 한다"면서 "(김기춘) 비서실장이 책임지든지 담당 비서관이 책임지든지, 아니면 비선 실세로 알려진 사람들이 책임을 지든지 말끔하게 처리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당·청 관계에 대해 "청와대가 한마디 한다고 무조건 금과옥조로 따라가는 것은 구시대의 관계이고, 지금은 그런 관계가 아니다"면서 "당이 때로는 청와대를 리드할 때도 있고, 청와대가 당의 입장을 이해할 때도 있고, 그런 점에서 당 지도부가 좀 더 분명한 입장을 가져줬으면 좋겠다"고 주문했다.
이 의원은 회의 직후 야당의 특검 요구에 대해 "고려해볼 수 있다"고 했다.
이 의원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했으니, 특검을 못 받는다면 야당이 '아무것도 아닌데 왜 특검을 못 받느냐'고 할 것 아니냐"면서 "야당의 특검 주장을 가볍게 듣는다면 정국이 점점 혼란스러워진다"고 했다.
같은날 친박계 홍문종 의원은 교통방송 라디오에 나와 청와대의 인적 쇄신 필요성 질문에 "인적 쇄신 필요성이라기보다는 약간 느슨해진 청와대 공직기강 등을 생각해보고…"라고 했다.
홍 의원은 검찰의 중간수사결과 발표에 대해 "이제 검찰을 믿어야 할 때다. 국민이 더 이상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지 않으셔도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