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주한 외교관들 “메르스 정보 부족” 불만

입력 : 2015-06-09 06:00:00 수정 : 2015-06-09 06:00:0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문의해도 설명 듣지 못해”
정부 뒤늦게 합동 브리핑
우리 정부가 메르스 사태에서 보여준 폐쇄적인 정보 비공개 행태로 주한 외교가의 대한(對韓) 불신감이 증폭되고 있다. 외국인 1600만(장·단기 체류자 154만+관광객 1420만) 시대임에도 우리 정부가 메르스 환자 발병 병원 등에 대한 정보를 제때에, 제대로 제공하지 않아 자국민 보호에 혼란을 가중시켰다는 불만이다.

익명을 요구한 주요국 외교관은 8일 “(메르스 사태 발생 후) 서울 주재 대사관에 한국에 거주하는 우리 국민에게서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도 괜찮으냐’는 문의가 많이 들어와 한국 정부에 문의했으나 아무런 설명을 듣지 못했다”며 “한국인에게도 정보를 공개하지 않은 보건복지부가 외국인에게만 정보를 공개할 수야 없겠지만, 불안한 외국인은 (한국인보다) 더 고독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는 점을 한국 정부가 특히 신경을 써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외교부에 메르스 사태를 문의하니 보건복지부에 문의하라고 했고, 보건복지부에 전화를 거니 관료 식으로 냉담하게 대응했다”며 “나쁜 일일수록 빨리 홍보를 해야 나중에 뒤에 가서 깊은 상처를 입지 않는 법”이라고 일침을 놨다.

다른 외교관은 “세계가 한국의 보건복지부를 욕하고 있다”며 “불편한 진실이 그렇게 많은가. 이럴 때야말로 밝힐 것은 일찍 밝혔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나라의 위상은 공공서비스 질에 달려 있다”며 이번 일이 한국의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임을 강조했다. 법무부에 따르면 한국에는 154만명(4월 말 현재)의 장·단기 체류 외국인이 있으며, 지난 한 해 한국 방문 외국인 관광객은 1420만명에 달한다.

외교부와 보건복지부는 이날 오후 메르스 사태 발생 후 처음으로 주한 외교단을 상대로 정부 합동 설명회를 가졌다. 주한 일본 매체 특파원은 이에 대해 “너무 늦었다”며 “우리 대사관 관계자가 환자 발병 병원 등을 한국 정부에 문의했으나 답변을 듣지 못해 결국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떠다니는 정보를 취합해 본국에 보고했다고 한다. 이게 말이 되느냐”고 분통을 터트렸다. 정부 합동브리핑에는 일본, 러시아, 독일 대사관 등 79개국 공관과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소 등 7개 국제기구 관계자가 참석했다. 합동브리핑에서 일부 주한 외교관은 이번 사태와 관련한 외국인 전용 핫라인 구축을 요구했고 우리 정부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염유섭 기자 yuseob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