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집필을 끝내고 인사동 나들이를 한 김양동 교수. 그의 저서에 대해 고은 시인은 “한국 고대문화 탐구의 새로운 기원”이라고 극찬했다. |
그는 미학적 견지에서 한국미의 특질을 처음으로 규정한 일본 민예학자 야나기 무네요시(1889∼1961)의 잘못된 시각도 교정한다. 야나기는 한국미의 핵심을 ‘선(線)의 미’와 ‘한(恨)과 비애(悲哀)미’로 규정했다.
빛살무늬의 유전인자를 가지고 있다고 언급된 김환기(위 사진)와 박서보 작품. |
그는 한민족의 미의식은 태양과 같이 환한 ‘밝음의 미학’이라 했다. 극도로 추상화한 것이 빛살무늬로 상징화되었다는 얘기다. 빛살 같은 광명사상에 비애는 끼어들 틈이 없는 것이다.
“야나기의 주장이 오랜 세월 회자될 수밖에 없었던 것도 한국미 모형의 원리를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는 요즘 뜨고 있는 단색화의 원형 인자도 빛살무늬에서 찾고 있다.
“한국 현대추상화의 대부 격인 김환기를 비롯하여 곽인식 정상화 박서보 서세옥 이우환 하종현 윤명로 오수환 등의 작업을 보면 이들 스스로가 인지했건 못 했건 간에 빛살무늬의 인자를 발견하게 된다. 잠재되었던 한민족의 원형적 미의식이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그는 단색화의 이론적 빈곤함은 한국 미술의 모형을 깨닫지 못한 것에서 비롯됨을 지적했다.
“단색화는 한국 미술의 원형을 현대 회화로 승화시킨 것입니다. 빛살무늬가 든든한 이론적 근거라는 점을 드러낼 필요가 있습니다.”
서예가가 어찌해서 이런 문제에 천착하게 됐는지 궁금했다.
“문자를 다루는 사람으로서 신(神) 자의 근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우연히 다다르게 됐다. 신 자는 나무막대 같은 문자에서 유래됐다. 빛살의 상형문자다. 태양숭배 사상이 깃든 빛살무늬와 다를 게 없었다.”
당초문이나 와당문의 기원도 태양문양에서 모두 풀어가고 있는 그는 빛살무늬로 회화작업도 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그의 작품이 소장돼 있다. 그는 책에서 태양신으로 환치되고 있는 솔개도 언급하고 있다. 한옥 기와지붕선이나 고대 유물의 새 형상들이 태양신으로 쉽게 설명되고 있다.
“서예가가 별것 다하고 있네 하는 시각이 있는 것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한국 문화의 원형을 찾아가는 데 고고학자나 언어학자가 따로 있을 수 없다. 기존 학계의 열린 자세를 기대한다.”
글·사진=편완식 미술전문기자 wansi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