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청단’ 활동 중 만나 동지서 부부로
조국독립·혁명 꿈꾸며 항일투쟁 활동
![]() |
원희복 지음/공명/1만7000원 |
부부 항일독립운동가 김찬(1911∼1939)과 도개손((陶凱孫·1912∼1939)은 우리에게 낯선 이름이다. 김찬은 한국인이고 도개손은 중국 여인이다. 평안남도 진남포가 고향인 김찬은 독립운동가인 아버지를 따라 중국에 가서 공부했고 노동운동을 통해 조선공산당을 재건하고 독립을 이끌어내고자 했다. 도개손은 중국 명문가의 딸로 베이징대 최초의 이과계 여학생이었다. 김찬은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에 가입했고, 공청단 활동 중 혁명 동지이자 연인이 된 도개손과 처음 만난다. 언론인 출신인 저자가 쓴 ‘사랑할 때와 죽을 때’는 서른도 못 살고 중국 땅에서 총살형을 당한 부부 독립운동가의 기구한 삶을 기록한 책이다.
![]() |
김찬은 1930년대 조봉암, 김단야 등과 함께 조선공산당을 일으킬 만큼 거물 인사였으나 한국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
![]() |
명문가 출신 도개손은 김찬을 만날 당시 중국 베이징대 최초의 이과계 여학생이었다. |
![]() |
김찬이 중국 베이징에서 활동하던 당시 큰아들 연상을 낳은 뒤 도개손과 찍은 유일한 가족사진. |
![]() |
김찬과 조봉암, 김단야 3인이 힘을 합쳐 조선노동당을 재건하는 움직임을 게재한 1933년 6월 3일자 신문. |
![]() |
김찬이 조선에 잠입하다 일제 경찰에 붙잡힌 얘기와 활동한 사실을 보도한 당시 신문. 공명 제공 |
이 책 저자는 10여년간의 중국 현지 취재를 통해 두 사람을 죽음으로 몰고 간 진실을 규명하려 했으나 거의 기록이 사라진 사실을 밝혀냈다. 다만 혹독한 고문을 자행한 사실을 덮으려는 캉성의 지시로 기록이 없어진 것으로 저자는 추정했다.
중국에서 죽음을 맞았고 사회주의 노선을 걸었던 탓에 한국에서 이들은 잊혀진 존재였다. 당시 조국이 없어진 막막한 상황에서 사상적으로 기댈 언덕이 사회주의 또는 아나키즘밖에 없었다는 사실은,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사회주의 운동에 투신한 배경이 됐다. 1982년 중국공산당은 캉성의 조작에 의한 모함이라는 사실을 인정해 두 사람을 복권시켰고 5000위안의 위로금을 지급하기도 했다. 저자는 “김찬은 1930년대라는 시간대와 조선과 중국이라는 공간에서, 특히 사회주의 노동운동에서 가장 상징적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정승욱 선임기자 jswoo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