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S 스토리] '디지털기록물 시대' 맞아 국가기록원 새로운 도약

관련이슈 S 스토리

입력 : 2015-10-17 06:00:00 수정 : 2015-10-17 06:00:0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2016년 ‘기록올림픽’ 서울총회도 개최
국가기록원 서울기록관 보존 전문가들이 시청각 자료 보존작업을 하고 있다.
성남=정진수 기자
‘전자기록물 국가기록원 이관 첫해, 서고역할에서 능동적 수집·평가로 역할 확대, 대통령기록관 독립 청사 이전….’

2015년은 국가기록원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도약기가 될 전망이다. 우선 2004년 정부가 전자정부를 표방한 이후 생산한 전자기록이 국가기록원으로 이전되는 첫해다. 종이시대에서 전자기록시대로 넘어가는 분기점인 셈이다.

일제의 토지수탈을 담은 ‘토지조사부’ 복원 전 모습.
국가기록원 제공
2004년 이후 전자기록 생산시스템(OnNara System)을 통해 생산된 전자기록물들은 1년 이후 각 기관의 기록관리시스템(RMSs)에 10년까지 보관된다. 이후에는 국가기록원 관리스시템(CAMS)에 이관돼 보관된다. 전자기록물이라고 ‘저장’키만 누르면 되는 가벼운 작업이 아니다. 특정소프트웨어 단종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서가 열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각 문서를 장기보존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은 물론 각 기록의 서명자, 시점 등의 정보를 담은 메타데이터도 삽입해야 한다. 국가기록원의 ‘디지털’ 이행은 시민들의 온라인 열람을 용이하게 할 전망이다. 

일제의 토지수탈을 담은 ‘토지조사부’ 복원 후 모습.
국가기록원 제공
기록원은 공공기록의 개방, 공유를 가속화하기 위해 기존 종이문서의 온라인 전환작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전체 소장량의 10%(920만건) 수준인 온라인 서비스를 2017년까지 2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 초에는 조직 개편을 통해 기존에 서고 역할에 치중했던 서울기록관, 부산기록관 등에 기록물 수집과 평가 등의 역할을 부여했다. 기존에 소극적인 서고 역할에서 각 지역을 거점으로 능동적 기록물 수집활동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경기 성남 서울기록관에 ‘세를 들어 살던’ 대통령기록관이 다음달 20일 세종시로 이전해 독립청사를 꾸리는 것도 의미가 깊다. 2007년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기 전까지는 관리의 대상조차 불분명했던 대통령기록물 관리가 보다 체계적, 독립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2016년 9월에는 ‘기록 올림픽’이라고 불리는 국제기록관리협의회(ICA) 서울총회도 개최된다. 4년마다 개최되는 ICA 서울총회에는 190개국 기록관리기관 대표와 전문가 30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최중기 국가기록원 정책기획 팀장은 “ICA 총회 개최 등으로 행정한류의 확산과 국내 기록관계자들의 역량 확충, 인프라 구축이 공고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원=정진수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여정, 순백 드레스 자태…과감한 어깨라인
  • 조여정, 순백 드레스 자태…과감한 어깨라인
  • 전혜빈 '매력적인 미소'
  • 혜리 '겨울 여신 등장'
  • 권은비 '매력적인 손인사'